진행중

취석정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5월 22일 (토) 04:19 판 (영문 해설 내용)

이동: 둘러보기, 검색


취석정
Chwiseokjeong Pavilion
취석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취석정
영문명칭 Chwiseokjeong Pavilion
한자 醉石亭
주소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노동로 191-9 (화산리)
지정(등록) 종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53호
지정(등록)일 1997년 7월 18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취석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취석정은 조선 명종 1년(1546)에 고창의 선비 노계 김경희(蘆溪 金景熹 1515∼1575)가 지은 정자이다. 그는 조광조와 외삼촌인 양팽손에게 성리학을 배웠으며 시와 문장에도 뛰어났으나 을사사화(1545)에 연루되어 벼슬길에 오르지 못했다.

‘취석(醉石)’이란 중국 시인 도연명이 술에 취하면 눕곤 하여 파인 흔적이 남았다는 바위에서 딴 이름으로, 욕심 없이 한가롭게 살아가겠다는 뜻이 담겼다.

취석정은 정자 가운데 방을 만들고 온돌을 놓아 추운 겨울에도 머물 수 있게 했다. 정자 아래쪽에는 아궁이와 굴뚝이 남아 있다. 마루 끝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설치하였는데, 난간에는 태극(太極)과 팔괘**(八卦)를 조각하여 이 정자를 우주의 축소판으로 형상화하였다. 빼어난 경치 와 정자 주변에는 취석으로 짐작되는 크고 작은 고인돌들이 있다.


  • 계자난간: 계자다리(鷄子多里)라는 부재를 사용하여 난간대를 지지하도록 만든 난간으로 조선시대에 널리 쓰임.
  • 팔괘: 중국 상고 시대에 복희씨가 지었다는 여덟 가지의 괘을 의미함.

영문

Chwiseokjeong Pavilion


영문 해설 내용

취석정은 고창 출신의 학자인 김경희(1515-1575)가 1546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김경희는 1534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1545년 사화가 일어나자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고향인 이 마을로 돌아와 은거하였다. 취석정을 지은 후에는 이곳에서 여러 선비들과 학문을 강론하고 시를 지으며 자연을 즐겼다.

취석정이라는 이름은 글자 그대로 하면 '술취한 바위의 정자'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중국 시인 도연명이 술에 취하면 눕곤 하였다는 바위의 이름에서 땄으며, 욕심 없이 한가롭게 살아가겠다는 뜻이 담겼다.

취석정은 온돌방이 가운데에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방문을 들어올려 넓게 트인 공간으로 쓸 수 있도록 했다. 정자 아래쪽에는 난방을 할 때 사용하는 아궁이와 굴뚝이 남아 있다. 방의 4면에는 난간을 두른 마루를 놓았다. 난간에는 태극 문양과 팔괘의 문양을 새겨놓았는데, 이는 취석정을 우주의 축소판으로 형상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