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풍패지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5월 17일 (월) 14:31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주 풍패지관
Pungpaejigwan Guesthouse, Jeonju
전주 풍패지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전주 풍패지관
영문명칭 Pungpaejigwan Guesthouse, Jeonju
한자 全州 豊沛之館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3가 1번지
지정(등록) 종목 보물 제583호
지정(등록)일 1975년 3월 31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전주 풍패지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전주 풍패지관은 전주에 온 관리나 사신이 머물던 전주 객사(客舍)이다. 조선 시대에는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대궐을 향해 예를 올렸으며,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는 축하 의식을 행하였다.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모시는 ‘주관(主館)’과 숙소로 사용하던 ‘익헌(翼軒)*’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관의 처마 아래에는 ‘풍패지관’이라고 쓴 거대한 편액**이 걸려 있는데 이는 전주 객사의 위상을 잘 보여 준다. 풍패***란 건국자의 고향을 이르는 말로,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본향인 전주를 풍패지향이라 하였는데 이를 본따 전주 객사의 이름도 풍패지관이라 한 것이다.

전주 풍패지관이 처음 지어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성종 4년(1473)에 전주서고를 짓고 남은 목재로 서익헌을 고쳐 지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후 1597년에 발발한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었다가 다시 지었고, 고종 9년(1872)에 보수 공사를 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도로 확장 공사로 동익헌을 철거하여 주관과 서익헌만 남아 있었으나, 1999년에 동익헌을 복원하였다. 현재는 주관과 동·서익헌, 객사를 관리하는 수직사가 남아 있다.


  • 익헌: 본 건물의 좌우 양쪽에 딸려 있는 건물
  • 편액: 건물이나 문루 중앙 윗부분에 거는 액자
  • 풍패: 중국 한나라 고조가 태어난 곳의 지명

영문

Pungpaejigwan Guesthouse, Jeonju

Guesthouses, called gaeksa in Korean, were part of local government offices during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The guesthouse includes a shrine in the center to hold a wooden tablet symbolizing the king and two rooms to either side which were used as temporary lodging facilities for officials visiting from other regions. The wooden tablet enshrined in each local guesthouse exhibited the king’s sovereignty across the country. To acknowledge this sovereignty, the local magistrate and other officials regularly performed a ceremony here in which they prostrated themselves toward the royal capital.

Pungpaejigwan, meaning “Hall of Pungpae,” was the guesthouse of the Jeollagamyeong Provincial Office during the Joseon period. Pungpae is the Korean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Fengpei, referring to Feng city in Pei county where Liu Bang (256-195 BCE), the founder of China’s Han dynasty (202 BCE-220 CE), was born. As the Joseon royal family traced their ancestral roots to Jeonju, it was often compared to Feng, as this name demonstrates.

It is unknown for certain when this guesthouse was first established, but historical records of a partial reconstruction in 1473 suggest it already existed by this time. The building was completely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7-1598 and was later rebuilt. It was significantly repaired in 187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right part of the guesthouse was dismantled to allow for the expansion of an adjacent road and was rebuilt in 1999. In front of the guesthouse is a custodian’s residence.

영문 해설 내용

객사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고을 관아에 설치했다. 객사는 가운데에 왕의 전패를 모신 정당이 있고 좌우 양쪽에 숙소로 사용되던 익실이 있다. 객사에 모셔진 전패는 왕의 통치권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치권을 바탕으로 고을 수령과 관리들은 궁궐을 향해 절하는 망궐례를 행했다.

풍패지관은 ‘풍패의 객사’라는 뜻으로, 조선시대 전라감영의 객사였다. 풍패지관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전주가 중국 한나라 고조(高祖)의 고향 이름을 따라 ‘풍패’라고 불렸기 때문이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조상이 대대로 전주에 살았기 때문에, 조선시대에는 전주를 풍패에 견주었다.

풍패지관이 처음 지어진 시기는 알 수 없으며, 1473년에 서익헌을 고쳐 지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었다가 다시 지었고, 1872년에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도로 확장 공사로 동익헌을 철거하였다가 1999년에 복원하였다. 객사 앞에는 객사를 관리하는 수직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