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 동종
HeritageWiki
My9univ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4월 26일 (월) 10:5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상원사동종.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200360000 상원사 동종], 국가문...)
상원사 동종 Bronze Bell of Sangwonsa Temple |
|
대표명칭 | 상원사 동종 |
---|---|
영문명칭 | Bronze Bell of Sangwonsa Temple |
한자 | 上院寺 銅鍾 |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상원사 (동산리) |
지정(등록) 종목 | 국보 제36호 |
지정(등록)일 | 1962년 12월 20일 |
분류 |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
소유자 | 상원사 |
관리자 | 상원사 |
시대 | 통일신라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상원사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기존 국문
현존(現存)하는 한국종(韓國鐘)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이 종은 신라(新羅) 성덕왕(聖德王) 24년(725)에 조성(造成)되어 조선(朝鮮) 예종(睿宗) 원년(元年)(1469)에 상원사(上院寺)에 옮겨진 것으로, 한국종의 고유한 특색을 모두 갖추고 있는 대표적인 범종(梵鐘)이다.
음통(音筒)이 있는 종뉴(鐘紐) 아래에 안으로 오므라든 종신(鐘身)이 연결된 형태인데, 이상적인 비례와 안정감 있는 구조, 풍부한 양감(量感)과 함께 세부적인 묘사수법도 매우 사실적이다. 종신에 있는 상대(上帶)·하대(下帶), 4유곽(乳廓)의 문양은 모두 당초문(唐草紋)을 바탕으로 2∼4인의 작은 비천상(飛天像)이 있는 반원권문(半圓圈紋)이 새겨졌고, 종복(鐘腹)에 비천상과 교대로 있는 당좌(撞座)는 8판 연화문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비천상은 경쾌하기 이를데 없는 모습으로 구름 위에서 천의(天衣) 자락을 흩날리며 공후와 생(笙)을 연주하고 있는데, 볼록한 두 뺨, 유연한 신체에 걸친 천의 등은 8세기 전반의 이상적(理想的) 사실풍(寫實風)의 불교조각(佛敎彫刻) 양식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이러한 상원사 종에 보이는 음통, 안으로 오므라든 종신형, 상대·하대, 4유곽의 구조적인 특징은 한국종의 전형(典型)이 되어, 양식적인 변천과정을 거치면서 이후의 모든 종에 계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