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금촌 두암고택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4월 5일 (월) 06:37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우금촌 두암고택
Duam House in Ugeumchon Village
우금촌 두암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우금촌 두암고택
영문명칭 Duam House in Ugeumchon Village
한자 友琴村 斗巖古宅
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304번지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1호
지정(등록)일 1975년 12월 30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3동
웹사이트 우금촌 두암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우금촌은 우금 마을, 두암은 조선 시대 학자인 김우익의 호, 고택은 옛날에 지은 오래된 집을 말한다. 두암 고택은 살림집에서 주가 되는 집채인 몸채, 조상의 위패*를 모셔 놓은 건물인 사당, 바깥주인이 생활하면서 손님을 맞이하는 건물인 사랑채로 이루어졌다. 몸채는 김우익이 선조 23년(1590)에 살림을 차려 나가면서 지은 집이다. 사당과 사랑채는 후대에 지었는데, 사랑채는 김우익의 손자인 김종호를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세우고 김종호의 호를 따서 이름을 함집당(咸集堂)이라 하였다.

두암 고택은 넓은 네모꼴의 땅에 지었는데, 땅의 가장자리를 따라 흙과 돌로 쌓은 담장을 두르고 앞쪽에 솟을삼문*을 두었다. 솟을삼문을 통해 집 안으로 들어서면 넓은 바깥마당이 나오고 중앙에 ㅁ자 모양의 몸채, 오른쪽에 김우익의 위패*를 모신 사당, 왼쪽에 함집당이 위치한다.

몸채 가운데에는 안마당이 있고 안마당 뒤쪽 중앙에 큰 마루인 대청, 왼쪽에 온돌방, 오른쪽에 화장실과 온돌방을 배치하였다. 오른쪽 온돌방 앞에는 부엌, 온돌방, 왼쪽 온돌방 앞에는 안마당으로 들어가는 문인 중문, 물건을 넣어 두는 고방, 온돌방을 두었다. 안마당 앞쪽에는 중문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손님을 접대하는 사랑방, 왼쪽에 구들이 없는 마루방을 왼쪽으로 조금 튀어나오도록 만들었다.

두암 고택은 조선 시대 살림집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어서 조선 시대 가옥과 생활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 솟을삼문 : 문이 세 칸인 대문에서 가운데 문의 지붕을 양쪽 대문보다 한 단 높게 세운 대문
  • 위패 : 죽은 사람의 이름과 죽은 날짜를 적은 나무패

영문

Duam House in Ugeumchon Village

This house was established in 1590 by Kim U-ik (1571-1639, pen name: Duam), a civil official and scholar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Kim was a member of the Seonseong Kim Clan and lived with his family in today’s Gaheung-dong area. However, he eventually moved out and established a village in the vicinity of Naeseongcheon Stream, where many generations of his descendants have lived ever since.

This house, which is surrounded by an earthen and stone enclosure wall, consists of a main gate, a main quarters, a detached men’s quarters named Hamjipdang, and a shrine dedicated to Kim U-ik. Only the main quarters was built by Kim U-ik. The detached men’s quarters was a later addition by Kim’s grandson Kim Jong-ho (1630-1682, pen name: Hamjipdang). The shrine was also added later.

Although the house is preserved in a relatively unchanged state, some alterations, like the addition of modern bathroom facilities, have been made to accommodate visitors. The main quarters, in particular, is typical of traditional upper-class house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It has an overall square layout with a central courtyard. At the front of the building is a gate leading to the courtyard, to the left of which is the original men’s quarters of the building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Hamjidang Hall. This men’s quarters area is distinguished from the rest of the building by its elevated floors and tall roof. At the rear of the building behind the courtyard, there is a wooden-floored hall standing atop a two-tier stone foundation.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ourtyard are various spaces including underfloor-heated rooms, bathrooms, and kitchens with storage attics.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우익(1571-1639, 호: 두암)이 1590년에 처음 지었다.

김우익은 원래 지금의 가흥동 지역에 있는 선성김씨 고택에서 살았으나, 분가하면서 내성천 근처에 마을을 개척했고 그의 후손들이 대대로 이 마을에 살게 되었다.

이 집은 흙과 돌로 쌓은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대문, 몸채, 사랑채인 함집당, 김우익을 모신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채만 김우익 때 지은 것이고, 사랑채는 김우익의 손자인 김종호(1630-1682, 호: 함집당)이 후대에 지은 것이다. 사당도 후대에 지었다.

전반적으로 원래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으나, 현재 한옥 숙박시설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현대식 화장실과 욕실을 갖추는 등 일부 변경된 부분이 있다. 특히 몸채는 경상북도 지역 상류층 가옥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안마당을 중심을 ㅁ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앞쪽에는 안마당으로 들어갈 수 있는 중문을 두었고, 그 왼쪽에는 함집당이 지어지기 전 원래의 사랑채가 있다. 이 사랑공간은 마루와 지붕이 높아서 건물의 다른 공간들과 구별된다. 안마당 뒤쪽에는 2단의 기단 위에 세운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 화장실, 다락이 딸린 부엌 등 다양한 공간이 배치되었다.

갤러리

참고자료

주석

  1. 두암고택, 선비촌-한옥숙박체험.
  2. 우금촌 두암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