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 신도비
이색신도비 0 |
|
대표명칭 | 이색신도비 |
---|---|
영문명칭 | 0 |
한자 | 李穡神道碑 |
주소 | 충남 서천군 기산면 건지산길 89-20 (영모리) |
지정(등록) 종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7호 |
지정(등록)일 | 1984년 5월 17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
시대 | 고려시대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이색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기존 국문
이 신도비는 고려 말의 문신이자 대학자인 묵은 이색(묵은 이색, 1328-1396)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433년(조선 세종 15년)에 세웠으며글은 호정 하륜이 지었다.
묵은은 고려 말 충절을 지켰던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더불어 삼은(三 )으로 불린다. 그는 골민왕 때에 전제개혁, 국방개혁, 교육진흥, 불교억제 등 여러 가지 개혁정책에 관한 건의문을 올렸으며, 중국의 원·명 교체기에는 친명정책을 지지했다. 그리고 고려 후기에 유교가 들어오면서 불교의 폐단으로 인해 민심이 어지러워지자 불교를 유학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점진적인 종교개혁을 통해 그 폐단을 없애고자 했다. 우암 송시열은 이 비의 뒷면에 자신이 지은 음기()에서 '나는 항상 <고려사(高麗史)>를 읽다가 정도전은 ㅁ}}
이색신도비 0 |
|
대표명칭 | 이색신도비 |
---|---|
영문명칭 | 0 |
한자 | 李穡神道碑 |
주소 | 충남 서천군 기산면 건지산길 89-20 (영모리) |
지정(등록) 종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7호 |
지정(등록)일 | 1984년 5월 17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
시대 | 고려시대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이색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기존 국문
이 신도비는 고려 말의 문신이자 대학자인 목은 이색(牧隱 李穡, 1328-1396)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433년(조선 세종 15년)에 세웠으며 글은 호정 하륜이 지었다. 목은은 고려 말 충절을 지켰던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더불어 삼은(三隱)으로 불린다. 그는 공민왕 때에 전제개혁, 국방개혁, 교육진흥, 불교억제 등 여러 가지 개혁정책에 관한 건의문을 올렸으며, 중국의 원·명 교체기에는 친명정책을 지지했다. 그리고 고려 후기에 유교가 들어오면서 불교의 폐단으로 인해 민심이 어지러워지자 불교를 유학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점진적인 종교개혁을 통해 그 폐단을 없애고자 했다. 우암 송시열은 이 비의 뒷면에 자신이 지은 음기(陰記)에서 '나는 항상 <고려사(高麗史)>를 읽다가 정도전은 목은 선생의 죄를 말하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일찍이 책을 덮고 깊이 탄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하면서, 정도전과 하륜, 권근의 평전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