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아막성
남원 아막성 Amakseong Fortress, Namwon |
|
대표명칭 | 남원 아막성 |
---|---|
영문명칭 | Amakseong Fortress, Namwon |
한자 | 南原 阿莫城 |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성리 83 |
지정(등록) 종목 | 전라북도 기념물 제38호 |
지정(등록)일 | 1977년 12월 3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
수량/면적 | 일원 |
웹사이트 | 남원 아막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아막성은 봉화산(해발 919.6m)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에 위치한다. 산줄기 정상부와 주변의 계곡을 감싼 ‘포곡식산성’으로, 산성의 정상부에서는 아영분지가 한 눈에 조망되며, 가야[기문국] 수장층 무덤인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월산리·청계리 고분군 등이 인접하여 자리한다.
산성의 규모는 둘레 약640m 내외, 동-서 폭180m, 남-북 폭165m 내외로 평면형태는 방형에 가깝다. 성벽은 다듬은 석재를 사용하여 수평 줄쌓기 방식으로 축조하였으며, 구간마다 사용된 성돌의 형태가 달라 조성 주체 및 시기의 차이가 보인다. 성곽시설로는 문지 3개소와 2개소의 치 등이 있으며, 부속시설로는 집수시설과 계단식 건물대지가 남아있다.
『삼국사기』 백제 무왕 3년(602년), 무왕 17년(616년)에 백제가 신라의 아막성을 공격했다는 기록이 전하는데, 발굴조사를 통해 문헌사적으로 추정되었던 아막성의 실체가 확인되었다. 조사결과, 길이 9.5m, 폭 7.1m, 깊이 2.5m의 대형 집수지의 존재가 파악되었다. 집수지 외측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조절하기 위한 도수로가 확인되었으며, 도수로 외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심어 놓은 나무기둥이 조사되었다.
집수시설 내부에서는 삼국~나말여초기에 이루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유물 중 토기류의 경우, 대다수가 6세기 중반~7세기 전반경에 제작된 신라토기로 아막성의 축조·운영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었는데, 기록상 등장하는 아막성의 운영시기와 정확히 일치한다. 신라유물 이외에 가야토기와 백제토기도 출토되었는데, 가야토기는 신라의 축성 이전에 운봉고원에 지역적 기반을 두고 발전했던 가야 세력과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백제토기는 백제와 신라가 치열한 각축을 벌였던 아막성의 역사성을 복원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출토된 유물 중 칠 원료가 담겨져 있는 그릇은 남원칠기 문화의 전통과 역사성을 복원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 외에도 목제유물과 동물유체가 다량 출토되었다. 곰 유체의 경우 신라 월성에서 출토된 예가 있는데, 『삼국사기』기록에 신라인들이 곰의 가죽으로 장군 깃발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등장하고 있어, 당시의 생활상을 유추해볼 수 있다.
영문
Amakseong Fortress, Nam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