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응와종택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3월 12일 (금) 15:01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주 응와종택
Eungwa Head House, Seongju
성주 응와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성주 응와종택
영문명칭 Eungwa Head House, Seongju
한자 星州 凝窩宗宅
주소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421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4호
지정(등록)일 1983년 6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일곽
웹사이트 성주 응와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응와종택은 조선 경종 1년(1721) 이이신이 터를 잡고 이이신의 손자인 이민겸이 규모를 늘렸다. 여러 차례 고쳤으며 1910년에 사당을 덧붙여 늘려 지었다. 2010년 이후 자혜당, 부속채, 화장실 등을 새로 만들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안채, 사랑채, 사당, 북비채, 행랑채 등 모두 9동으로 이루어졌다. 응와종택이라는 이름은 사랑채를 완성한 응와 이원조(李源祚)의 호에서 따왔다. 북비고택(北扉古宅)은 응와종택의 또 다른 이름이다. 이이신의 아들인 이석문(李碩文)이 사도세자가 죽은 뒤 세자를 그리워하여 영조 50년(1774)에 북쪽으로 대문을 만들었다고 하여 지은 이름이다.

이석문은 영조 15년(1739)에 무과에 급제하여 사도세자를 곁에서 보호하고 지켰다. 영조 38년(1762) 영조가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려 하자 이석문은 세손을 등에 업고 말리는 수문장을 밀치고 들어가 세손이 영조에게 아버지를 살려달라고 눈물로 호소하게 하였다. 이 일로 이석문은 관직을 빼앗기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 뒤 영조가 다시 벼슬할 것을 명하였으나 끝내 나아가지 않고 대문을 북쪽으로 돌려내고 사도세자를 그리워하였다. 그의 손자인 이규진이 정조 7년(1783) 과거에 합격하자, 정조는 이규진을 특별히 불러 “너의 조부가 세운 공이 가상하다.”하고, 또 “북쪽 대문이 아직도 있는가?”라고 물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영문

Eungwa Head House, Seongju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family of Yi I-sin (1689-1744).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by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Yi I-sin was the 9th-generation descendant of Yi U, the first person of the Seongsan Yi Clan to move to this village. In 1721, he obtained this property and established a head house

The house now consists of nine buildings including a men’s quarters, women’s quarters, and shrine. The women’s quarters and men’s quarters were rebuilt by Yi I-sin’s great-grandson Yi Gyu-jin (1763-1822) and Yi Gyu-jin’s son Yi Won-jo (1792-1871), respectively. The house later underwent several repairs, and in the 2010s, several auxiliary buildings were added to the complex.

The name Eungwa was the pen name of Yi Gyu-jin’s son, Yi Won-jo (1792-1871). The house is also known as Bukbi House, meaning “the house that faces north.” This name is related to Yi Seok-mun (1713-1773), the son of Yi I-sin and the grandfather of Yi Gyu-jin. After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for military officials in 1739, Yi Seok-mun was placed in charge of protecting Crown Prince Sado (1735-1762). In 1762, the crown prince’s father, King Yeongjo (r. 1724-1776), had his son’s title removed and ordered that he be locked in a rice chest on account of his misconduct. During this incident, Yi Seok-mun carried the crown prince’s young son (later King Jeongjo, b. 1752, r. 1776-1800) on his back and pushed past royal guards into the throne hall so that the boy could plead in tears to his grandfather to spare his father’s life. Because of this action, Yi Seok-mun was removed from office and returned to his hometown. In 1774, he had the main gate to his house face north, which is an unconventional direction, in order to be oriented toward the royal palace in longing for Crown Prince Sado. It is said that when his grandson Yi Gyu-ji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783, King Jeongjo specially called upon Yi Gyu-jin to commend his grandfather’s service and inquired if the main gate of their family house still faced north.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이이신(1689-1744)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이란 한 집안의 종가가 대대로 사는 집이다. 이이신은 성산이씨의 한개마을 입향조인 이우의 9대손이며, 1721년에 이곳을 매입하여 종택을 지었다.

현재 이 집은 사랑채, 안채, 사당 등 총 9동으로 이루어졌다. 이이신의 증손자인 이규진(1763-1822)이 안채를, 이규진의 아들인 이원조(1792-1871)가 사랑채를 다시 지었다. 이후 이 집은 여러 차례 중수되었고, 2010년대에 들어서도 여러 부속 건물을 새로 지었다.

‘응와’라는 이름은 이규진의 아들인 이원조(1792-1871)의 호에서 따왔다. 이 집의 또 다른 이름은 ‘북비고택’이며, ‘북쪽을 향해 낸 문이 있는 집’이라는 뜻이다. 이 이름은 이이신의 아들이자 이규진의 할아버지인 이석문(1713-1773)과 관련이 있다. 이석문은 1739년 무과에 급제한 후 사도세자(1735-1762)를 곁에서 보호하고 지켰다. 1762년 영조(재위 1724-1776)는 아들 사도세자의 비행을 이유로 세자 자리에서 폐위하고 뒤주에 가두려 하였다. 그러자 이석문은 세손(후의 정조, 재위 1776-1800)을 등에 업고 어전으로 들어가, 세손이 영조에게 아버지를 살려달라고 눈물로 호소하게 하였다. 이 일로 이석문은 관직을 빼앗기고 고향으로 돌아왔고, 1774년에 왕궁이 있는 북쪽으로 대문을 만들고 사도세자를 그리워하였다. 이석문의 손자인 이규진이 1783년 과거에 합격하자, 정조는 이규진을 특별히 불러 “너의 조부가 세운 공이 가상하다.”하고, 또 “북쪽 대문이 아직도 있는가?”라고 물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참고자료

확인 필요

  • 정조가 이규진을 불러 이야기한 것이 1783년인지 1799년인지 확인 필요.
  • 성주군 확인 결과, 성균관에 들어갈 때 정조와 만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따라서 생원시에 급제한 해에 해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