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월암종택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2월 22일 (월) 13:3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주월암종택.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483700340000 경주 월암 종택],...)
경주 월암종택 Woram Head House, Gyeongju |
|
![]() 경주 월암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대표명칭 | 경주 월암종택 |
---|---|
영문명칭 | Woram Head House, Gyeongju |
한자 | 慶州 月菴宗宅 |
주소 | 경북 경주시 식혜골길 35 (탑동) |
지정(등록) 종목 | 국가민속문화재 제34호 |
지정(등록)일 | 1977년 1월 8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필지/1,157㎡ |
웹사이트 | 경주 월암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임진왜란 때 부산첨사로 큰 공을 세운 월암 김호(月菴 金虎, 1534~1592) 장군의 생가로 건물은 17세기 전후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신라 때의 절터라 전해지는데, 주변에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보이는 석조물들이 남아있는데, 마당의 우물은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건물은 안채와 아래채, 사당(祠堂)이 있고, 사랑채는 터만 남아있다. 안채 건물은 정면 5칸의 단순한 ‘一’자 구성이지만 옛 법식을 따르고 있다. 대청 앞에 문짝을 달았다. 아래채는 초가지붕이고, 굴뚝을 부뚜막 한쪽에 설치한 구성이 특이하다. 안채 오른쪽 뒤편의 사당은 맞배지붕으로 안쪽을 모두 터놓은 통칸이다. 낮은 흙담을 두르고 문을 달아 공간을 구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