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구은고택
영주 구은고택 |
|
대표명칭 | 영주 구은고택 |
---|---|
한자 | 榮州 九隱古宅 |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로621번길 204-17 (이산면)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40호 |
지정(등록)일 | 2016년 3월 17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곽(5동) |
웹사이트 | 영주 구은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구은고택은 고종 23년(1886)에 순릉참봉을 지낸 김성수가 이곳 삼봉골로 이사 오면서 건립한 근대 주택이다. 김성수가 ‘ㅁ’자형 정침과 아래채, 대문간채의 거주영역을 건립하였으며 그 후 1929년에 증손 김종백이 연당(연못)과 연당채, 문간채 등 정자영역을 정침 앞에 지었다. 연당은 정침 앞에서 연당채인 반학헌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인공연못이다. 정침과의 연결통로를 제외하고는 연못물이 앞뒤로 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반학헌에서는 연당 앞뒤의 풍치를 감상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 있다.
조선 후기의 전통한옥에 충실한 거주영역과 일제강점기의 일본식이 혼용된 정자영역이 시차를 두고 지어져 시기별 건축의 구조 및 세부기법의 변화양상과 주거공간의 기능적 성격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살림집에 정자까지 갖춘 경북 북부지역 상류주택의 주요 구성요소를 고루 갖추고 있으며, 건립이후 줄곧 주생활이 이어져 오고 있어 상류 주택 및 주거생활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김성수가 이 마을로 이사 오면서 1886년에 지은 근대한옥으로, 자신의 호를 따서 집의 이름을 붙였다.
1929년에 그의 증손 김종백이 본채 앞에 반원 모양의 인공연못과 연당채, 문간채 등을 세웠고, 초가지붕을 올렸던 아래채는 광복 후 슬레이트 지붕으로 개량하였다.
집은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본채, 아래채, 대문간채가 주가 되는 거주 영역과 연못과 연당채가 있는 정자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상방, 왼쪽에 안방과 부엌을 배치했으며, 건물 앞쪽에 툇마루를 깔았다. 부엌 위에는 다락을 두어 안방 및 부엌의 수장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사랑채의 오른쪽 방에 안채로 통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연못은 연당채를 에워싸는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중앙에 큰 바위로 인공섬을 조성했다. 연당채 건물은 전통 한옥의 건축 기법에 일본식 건축 기법을 혼합해 지었다. 좌측을 빼고 건물의 세 면에 쪽마루를 시설하였으며, 복도 쪽에는 유리를 끼운 미닫이문을 달아 장식 효과를 주었다. 방 사이에도 미닫이문을 달아 여려 형태의 방을 서로 지나다닐 수 있게 했으며, 온돌방 위에 다락을 설치하고 계단을 두어 오르내릴 수 있도록 했다.
*거주 영역(특히 안채, 사랑채) 공간 확인 불가능해 정보 재확인 필요함.
참고 자료
- 영주 구은고택, 디지털영주문화대전 http://yeongju.grandculture.net/yeongju/toc/GC07400444 -> 2006년 화재로 집의 일부가 소실되어 수리하였다. / 안채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상방, 왼쪽에 안방과 정지를 놓았다. 안방 앞쪽으로는 툇마루를 설치하였고, 정지 상부에는 안방과 툇마루에서 이용하는 다락이 있다. 마루 뒷면에는 쪽마루를 두었다. 정지 앞쪽으로 문간, 고방, 문간방 등이 좌익사를 이룬다. 상방 앞쪽은 문간이 배치되어 있다. 문간은 안마당 쪽으로는 개방시키고, 맞은편에 쌍여닫이 띠장 널문을 달아 옆 마당으로 통하게 했다. 중문 오른쪽은 사랑채 부분으로 큰 사랑방, 마루방에 연달아 ㄱ자로 꺾어 작은 사랑방으로 되어있다. 큰사랑 전면에는 툇마루를 깔고 계자각 헌함을 돌려 치장하였고 마루방과 작은 사랑방 오른쪽에는 폭이 좁은 쪽마루를 두어 툇마루와 연결했다. 큰 사랑방 2칸 중 왼쪽 후면에는 벽장을 두었고, 오른쪽 방은 안채로 통하는 비밀통로를 만들어 두었다.
- 배용호의 문화확대경[90] 삼봉골의 구은고택(九隱古宅)과 삼봉서원(三峯書院), 영주시민신문, 2017.2.17. http://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2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