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화계사 탑다라니판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2월 5일 (금) 16:3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계사 탑다라니판
화계사 탑다라니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화계사 탑다라니판
한자 華溪寺 塔陀羅尼板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
지정(등록)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88호
지정(등록)일 2016년 8월 4일
분류 유물/불교공예/기타/기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점
웹사이트 화계사 탑다라니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탑다라니는 탑 모양의 그림에 불경의 글귀를 배치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다라니는 부처님의 말씀을 나타내는 신비한 주문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고 모든 악한 것들을 복종시키는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화계사에 전해지는 세 점의 탑다라니 중 두 점은 1873년에 제작되었으며, 나머지 한 점도 나무 재질과 판각 형태를 볼 때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모두 표면에 주칠을 해서 보호하고 있으며, 목재가 뒤틀리거나 갈라지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다.

1. 비로자나장엄장대누각탑다라니판(毘盧遮那莊嚴藏大樓閣塔陀羅尼板, 1873)

8장의 목재를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화엄경』에서 선재동자가 미륵보살을 친견하는 다층 누각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2. 원통궁전탑다라니목판(圓通宮殿塔陀羅尼板, 1873)

6장의 목재를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관음보살이 머무르는 원통전을 나타내었다. 화계사에 소장된 천수천안관음변상판(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87호)과 함께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3. 연화고향탑다라니판(蓮華故鄕塔陀羅尼板)

5장의 목재를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보탑과 탑 중앙의 여래상을 세밀하고 정교하게 새겼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1
    • 탑 모양의 그림에 불경의 글귀를 배치한 것을 말한다. -> 탑 모양의 그림 내부에 불경의 글귀를 배치한 것을 말한다.
    • 화계사에 전해지는 세 점의 탑다라니 중 두 점은 1873년에 제작되었으며, -> 화계사에 전해지는 세 점의 탑다라니는 간기에 의하면 두 점은 1873년에 조성되었으며, 거사 성월이 썼다고 되어있다.
  2. 분야별 자문위원2
    • 탑다라니는 탑 모양의 그림에 불경의 글귀를 배치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다라니는 부처님의 말씀을 나타내는 신비한 주문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고 모든 악한 것들을 복종시키는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졌으며, 탑다라니판은 이러한 다라니를 대량제작하기 위해 목판에 새긴 것이다.(문화재는 다라니가 아니라 다라니판이므로 이를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습니다)
  3. 읽기쉬운문안 자문위원
    • 탑다라니는 탑모양의 그림에 불경의 글귀를 배치한 것을 말한다 →탑다라니는 탑모양의 그림 위에 불경의 글귀를 그린 것을 말한다
    • 이러한 다라니는 부처님의 말씀을 나타내는 신비한 주문으로 → 다라니는 부처의 말씀 가운데 신비적 힘을 가진 것으로 믿어지는 주문으로
    •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 화계사에 전해지는 → 화계사가 소장한
    • 갈라지지 않고 잘 → 갈라지지 않고 잘
    • 보존되어 있다. → 보존되고 있다
    • 8장의 목재를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화엄경』에서 선재동자가 미륵보살을 친견하는 다층 누각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 8장의 목재를 연결하여 『화엄경』 77권 「입법계품」의 선재동자가 남쪽 해안국의 비로자나불장엄장대누각에 올라가 미륵보살을 친견하고자 하는 내용을 표현한 것이다.
    • 6장의 목재를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관음보살이 머무르는 원통전을 나타내었다. → 6장의 목재를 연결하여 관음보살이 머무르는 원통전을 묘사한 것이다

2차 수정

탑다라니는 탑 모양의 그림 내부에 불경의 글귀를 배치한 것을 말한다. 다라니는 부처님의 말씀을 나타내는 신비한 주문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고 모든 악한 것들을 복종시키는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으며, 탑다라니판은 이러한 다라니를 대량으로 제작하기 위해 목판에 새긴 것이다.

화계사가 소장한 세 점의 탑다라니판 중 두 점은 1873년에 제작되었으며, 나머지 한 점도 나무 재질과 판각 형태를 볼 때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모두 표면에 주칠을 해서 보호하고 있으며, 목재가 뒤틀리거나 갈라지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다.

1. 비로자나장엄장대누각탑다라니판(毘盧遮那莊嚴藏大樓閣塔陀羅尼板, 1873)

8장의 목재를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화엄경』에서 선재동자가 미륵보살을 친견하는 다층 누각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2. 원통궁전탑다라니목판(圓通宮殿塔陀羅尼板, 1873)

6장의 목재를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관음보살이 머무르는 원통전을 나타내었다. 화계사에 소장된 천수천안관음변상판(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87호)과 함께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3. 연화고향탑다라니판(蓮華故鄕塔陀羅尼板)

5장의 목재를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보탑과 탑 중앙의 여래상을 세밀하고 정교하게 새겼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