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은헌고택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2월 25일 (금) 03:30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은헌고택
Eunheon House, Jinju
진주 평촌 은헌고택, 진주 관광, 진주시청.
대표명칭 진주 은헌고택
영문명칭 Eunheon House, Jinju
한자 晋州 隱軒古宅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오봉산로983번길 27-8 (평촌리)
지정(등록) 종목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45호
지정(등록)일 2004년 3월 18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4동
웹사이트 진주 은헌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은헌고택은 은헌 한사원(韓士源, 1860~1908)이 지은 것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행랑채, 곳간채, 방앗간채가 남아 있다. 안채의 뒤쪽에 부녀자를 위한 공간을 마련한 점, 사랑채는 대청마루 외에 별도의 마루 공간을 만든 점 등 민가가 변해 가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여러 가지 모양의 문살 모양도 은헌고택 건축을 살펴보는 데 좋은 자료이다.

평촌의 청주한씨 집안은 500년 넘게 이곳에 거주하면서 근대 시기에 농업용 못 준설 부지 제공, 학교 설립, 이웃 돕기 등 지역을 위해 좋은 일을 많이 해 마을 주민들이 그 업적을 칭송하기 위해 송덕비를 세웠다.

영문

Eunheon House, Jinju

This house was built by Han Sa-won (1860-1908, pen name: Eungheon) of the Cheongju Han clan, presumably around the year 1900. Jungdo Village, where the house is located, became a clan village of the Cheongju Han clan after the civil official Han Seung-ri (1477-1536) moved here trying to escape the tyrannical rule of King Yeonsangun (r. 1494-1506). Later, the descendants of Han Seung-ri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area by providing land for an irrigation reservoir, establishing a school, and helping out the poor, for which the residents of the village erected a monument commemorating the family’s contributions.

The house consists of a women’s quarters, men’s quarters, servants’ quarters, and mill. The women’s quarters is one of the largest in the Gyeongsangnam-do area. The men’s quarters features an underfloor-heated room in the center with a wooden-floored hall on either side. One of the two halls was used for receiving guests, while the other served as a studying space for the children.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청주한씨 가문의 한사원(1860-1908, 호: 은헌)이 지은 것으로, 건립연대는 1900년 무렵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집이 위치한 중도마을은 문신 한승리(1477-1536)가 연산군(재위 1494-1506)의 폭정을 피해 이곳에 정착하여 은거한 이후로 청주한씨의 집성촌이 되었다. 한사원의 후손들은 농업용 저수지를 만들 땅을 제공하고, 학교를 설립하고, 어려운 이웃을 돕는 등 지역을 위해 좋은 일을 많이 했으며, 마을 주민들이 그 업적을 칭송하기 위해 세운 송덕비가 마을에 남아 있다.

집은 안채, 사랑채, 행랑채, 곳간채, 방앗간채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는 경상남도 지역의 민가 건물 중 규모가 가장 큰 편에 속한다. 사랑채는 온돌방을 가운데 두고 양옆에 마루를 두었으며, 한쪽 마루는 손님을 맞이하고 나머지 한쪽 마루는 자녀들의 공부방으로 활용하였다.

참고자료

  • 안채의 뒤쪽에 별도의 담장을 설치해 부녀자를 위한 활동공간을 마련한 점이나, 사랑채 건물 좌우에 별도의 마루를 두어 공간 분리를 시도한 점은 근대 한옥의 공간 활용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 기존 문안 기준 작성 / 사진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정보 확인 더 필요할 듯(사랑채 공간 분리 언급은 진주 관광 홈페이지 참조한 것인데, 사진 상으로는 좌우에 마루를 두었다는 특이점은 확인되지 않으며, 향좌측에 난간 두른 누마루가 있는 것이 더 눈에 띔)
  • 대문채는 허물어져 사라졌고, 동행랑채는 화재로 소실되었다고 한다.
  • 안채는 경남지역 민가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에 속한다,
  • 좌우측에 대청마루를 두어 사랑채의 공간을 양쪽으로 나누었는데, 한쪽은 손님을 맞이하고 나머지 한쪽은 자녀들의 공부방으로 활용한 것이다.
  • 곳간채는 중앙에 기둥을 세워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한 구조이다.
  • 지붕 박공면 장식이나 다양한 문살의 모양도 살펴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