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진주 선조사제문비

HeritageWiki
Kurt116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2월 14일 (월) 23:02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선조사제문비
진주 선조사제문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주 선조사제문비
한자 晋州 宣祖賜祭文碑
주소 경남 진주시 상대1동 592번지
지정(등록)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78호
지정(등록)일 2002년 8월 14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수량/면적 1기(基)
웹사이트 진주 선조사제문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진주선조사제문비는 1594년(선조29)년 국왕이 최영경*(崔永慶:1529~1590)에게 내려준 치제문(致祭文)을 1821년(순조21)에 돌에 새겨 세운 빗돌이다.

처음에는 산청의 덕천서원에 세웠다가 최영경이 세상을 피해 공부하던 이곳으로 옮겼다.

최영경은 남명(南冥) 조식(曺植,1501~1572)의 제자로 정여립 모반사건에 휘말려 1590년에 감옥에서 죽었는데, 1591년 무죄로 밝혀졌다.

이 사제문비는 영남사림파의 대표였던 정인홍(鄭仁弘)이 역적으로 몰려 약해져 가던 영남사림들에 대한 명예회복과 중흥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문화유산의 하나이다.


  • 최영경(1529~1590): 호 수우당(守愚堂), 조식의 제자로 학문으로 수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정여립 모반사건에 휘말려 감옥에서 죽었으나 신원이 회복되어 대사헌에 추정되고 덕천서원에 모셔졌다. 『수우당실기』가 전한다.

영문

This stele was erected in 1821 and bears the epitaph to the scholar Choe Yeong-gyeong (1529-1590) which was composed by King Seonjo (r. 1567-1608)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stele is housed in a pavilion together with the stele commemorating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Choe Yeong-gyeong. The former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latter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vilion.

Choe was a student of the prominent scholar Jo Sik (1501-1572). In recognition of his scholarly achievements, he was offered official posts on several occasions but always refused to accept them. Later, he was convicted of being involved with an uprising of 1589 and eventually died in prison. The next year he was proven innocent and reinstated. Grieving over Choe’s wrongful death King Seonjo wrote an epitaph, which was later engraved on this stele.

This stele was originally located at Sancheong Confucian Academy but in 1902, was moved to Dogangseodang Village Study Hall where Choe taught his students.

영문 해설 내용

조선 선조(재위 1567-1608)가 학자 최영경(1529-1590)을 추모하며 1594년에 하사한 제문을 1821년에 돌에 새겨 세운 비석이다. 비각 안에 있는 2기의 비석 중 왼쪽에 있으며, 오른쪽의 비는 최영경의 생애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신도비이다.

최영경은 조선시대의 저명한 학자 조식(1501-1572)의 제자였으며,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589년의 반란 사건에 연루되어 1590년 감옥에서 죽었으나, 이듬해 무죄로 밝혀져 신원되었다. 그의 억울한 죽음을 위로하기 위해 선조가 제문을 하사했고, 그 글을 돌에 새겨 비석으로 세웠다.

이 비석은 원래 조식과 최영경을 모신 산청 덕천서원에 세웠는데, 1902년 이후 최영경이 제자들을 가르쳤던 도강서당 경내로 옮겨왔다.

참고자료

  • 목암(木巖)에 잠든 처사 최영경, 고양신문, 2016.9.12.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0231 -> 현재 수우당의 위패는 그가 생전에 건립했던 경남 산청 덕천서원에 남명선생과 함께 배향돼 있고, 그가 강학을 펼쳤던 진주 선학산 기슭 도강서당에는 선조대왕의 사제문비(賜祭文碑,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378호)가 있다. 저서로는 ‘수우당 실기’, ‘수우당 최영경’ 등이 있다.
  •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3780000&pageNo=1_1_1_1 -> 이 비석은 원래 1821년 덕천서원의 마당에 세웠던 것으로, 이것은 남명(南冥) 조식(1501∼1572)에 대한 정조사제문비를 세우는 것과 같이 이루어졌다. 1796년 정조는 남명 조식에 대하여 친히 제문을 내려 그 학덕을 추모한 바 있는데, 이로 인해 강우(江右) 지역 학자들이 1623년의 인조반정과 1728년의 무신란 이래 쇠잔해진 문풍을 크게 일으키게 되었다. 1902년까지 덕천서원 마당에는 남명 조식에 대한 정조사제문비와 수우당 최영경에 대한 선조사제문비가 각각 동쪽과 서쪽에 서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 남명에 대한 정조사제문비는 없어졌고, 수우당 최영경에 대한 선조사제문비는 이 도강서당으로 옮겨져 지금까지 보존되고 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7363 -> ‘앞’에 신도비가 있다고 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