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양진당
상주 양진당 Yangjindang House, Sangju |
|
대표명칭 | 상주 양진당 |
---|---|
영문명칭 | Yangjindang House, Sangju |
한자 | 尙州 養眞堂 |
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양진당길 27-4 (승곡리) |
지정(등록) 종목 | 보물 제1568호 |
지정(등록)일 | 2008년 7월 10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동 |
웹사이트 | 상주 양진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상주 양진당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조정(1555~1636)이 지은 풍양 조씨의 종갓집이다. 임진왜란 때 불탄 옛 선조의 집터에 장남인 조기원에게 공사감독관을 맡겨 집안의 관례에 따라 총 100여 칸의 건물을 완공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양진당은 조선 후기 살림집의 지역적 특성 및 역사적 변화과정을 살피고, 당시의 건축 기술이 잘 드러나 있어 그 가치가 높은 건물이다.
건물은 1932년에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가 화재, 홍수 등으로 훼손되어 ‘ㄷ’자 모양의 본채만 남았다. 2004년과 2010년에 없어진 건물 터를 발굴하여 본채의 중문간과 사랑채, 사당 등을 찾아내고 옛 모습대로 새로 지었다. 동쪽의 제일 높은 구역에 사당이 있고, 그 앞에 있는 양진당, 서쪽으로 ‘ㅁ’자 모양의 본채가 있는 점이 조선 후기 경상도 지역 종갓집의 보편적인 형태이다. 본채는 2층집에 6칸씩의 방과 대청이 겹으로 배치됐다. 계단과 난간이 설치되어 있고, 창과 문이 다양한 형식과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처마 서까래가 독특한 짜임새와 모양을 가지고 있다.
영문
Yangjindang House, Sangju
This is a head house of the Pungyang Jo clan that was built by Jo Jeong (1555-1636),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Jo Jeong led a local civilian army. After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in 1605, he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It is said that there was another house on this spot which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The new house was finished in 1628, and its construction was overseen by Jo’s eldest son Jo Gi-won. The house was built out of parts from the house of Jo’s parents-in-law in Andong which was disassembled and shipped on a raft down the Nakdonggang River. The house was renovated in 1807.
After a series of calamities in the 1950s, including a typhoon, flood, and fire, all building were destroyed except the main quarters. An archaeological survey of the site conducted in the 2000s revealed the location of buildings such as an inner gate quarters, men’s quarters, and shrin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gate quarters and the shrine, which is dedicated to Jo Jeon, were built anew in 2005 and 2007, respectively.
The main quarters features a wooden-floored hall with an underfloor-heated room on either side and a kitchen at the far left. Because the building stands on a slope, the front of its stone foundation measures nearly 2 m in height. The flues for the underfloor-heating system were installed below this, and stairs were installed on either side of the building.
영문 해설 내용
양진당은 조선시대의 문신인 조정(1555-1636)이 지은 풍양조씨 문중의 종택이다. 종택이란 한 집안의 종가가 대대로 사는 집이다.
조정은 임진왜란 때 상주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고, 1605년 과거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원래 이 자리에 있던 집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조정의 장남 조기원이 공사 감독을 맡아 1628년에 새 집을 완성했다고 한다. 안동에 있던 조정의 처가 건물을 해체한 후 뗏목으로 낙동강을 건너 옮겨 지었으며, 1807년에 중수하였다.
1950년대에 태풍, 홍수, 화재 등으로 훼손되어 본채만 남았었는데, 2000년대에 이루어진 조사를 통해 중문간채, 사랑채, 사당 등 다른 건물들의 자리가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2005년에는 중문간채를, 2007년에는 조정의 사당을 새로 지었다.
본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들을 두었고, 맨 왼쪽에 부엌을 두었다. 경사지에 지어졌기 때문에 건물 앞부분의 바닥을 2m 가량 높였고, 그 아래에 난방을 위해 구들을 설치했다. 건물 양옆에는 계단을 두었다.
갤러리
상주 양진당 배치도[1]
참고자료
- 상주 양진당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1 -> 1921년 조태연이 개설한 낙운사숙을 옮겨와 ‘조명강습소’로 운영했으나 1923년 현 낙동초등학교가 개교하면서 문을 닫았다. / 1952년 태풍으로 대문간채(현재 대문간채의 앞에 또 대문간채가 있었다고 함)가 유실되었고 1957년 화재로 사당이 소실되었으며, 1966년 홍수로 대문간채와 사랑채가 유실되었다. / 1981년부터 해체 후 복원공사가 이루어지면서 정침과 사주문, 담장이 새로 세워졌고 2004년 시굴조사 후 2005년 대문채가 복원되었고, 2007년에는 사당이 복원되었다. 2012년 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 본래 지금의 대문채 앞에 실질적인 대문 역할의 건물이 있었다고 하며, 태풍으로 사라진 건물이 이것이다. / 양진당 건축 과정에서 ‘충헌’과 ‘복방’ 등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현재 양진당 구성의 고상식 겹집 형식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 고상식 방 앞으로 툇마루가 길게 이어져있고, 전면에 세워진 기둥이 아래는 사각, 위는 원으로 서로 다른 가공형태로 되어 있다. (‘낭무, 서가래’ 등의 용어로 표현) / 양쪽 익사는 완전한 2층이고 정침은 반층 위에 구성되어 있다. 주생활 공간의 바닥을 지면에서 2m 정도 높게 해 난방을 위한 구들과 대청을 설치한 것은 보기 드문 사례이며, 동서 익사는 중층 구조로 하부에 헛간 광이 있고 상부에 다락이 설치되어 있다. 집의 뒤쪽은 경사가 있고 앞쪽은 낮기 때문에 건물을 정면에서 보면 마루가 높게 설치되어 있지만 담장 밖에서 집 뒤를 바라보면 단층의 건물처럼 보인다. / 서쪽에는 상부에 다락이 설치된 부엌이 있다. / 정침과 양쪽 익사, 대문채의 지붕 높이가 모두 다르다.
-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15680000&pageNo=1_1_1_1 -> 기본 정보 : 상주 양진당은 검간(黔澗) 조정(趙靖)이 1626년 지은 것으로 양진당 중수기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종도리에서 기록이 나온 것으로 보아 1807년(순조 7)에 중수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상주 양진당은 전체적으로 정면 9칸, 측면 7칸의 규모의 ‘ㅁ’자형 평면을 한 고상식 건물로서 퇴칸 전면에 세운 6개 기둥은 통재를 사용하였는데, 특이하게 하층부분에는 방형으로 치목하고 상부는 원형으로 다듬었다. 지붕은 정침의 툇마루 상부만 겹처마로 하고 나머지는 홑처마로 하였는데, 겹처마의 경우 일반적으로 원형 서까래에 방형 부연을 얹는데 비해 양진당은 서까래를 네모지게 다듬어 부연과 같은 모습을 취하게 했다. 이 건물은 소위 고상식 주거에 속하는 것으로 건물 바닥을 지면에서 1미터 이상 높게 마련하면서 고상식 주거에서는 보기 드문 구들을 설치한 점에서 조선시대 주거유형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귀중한 사례이다. 방이 두 줄로 나열되는 겹집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도 특색이다.
- 워크뷰의 맛있는 도보여행 https://www.walkview.co.kr/4400 ->상세 사진
- 풍양조씨참판공파 http://www.choslink.com/familystory/ourbusiness/yangjindang -> 현재는 풍양조씨 연수원으로 운영하고 있다. (여름에만 운영된다고 함)
주석
- ↑ 목심회, 『우리 옛집: 경상도』, 집, 2015, 28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