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조공제
상주 조공제 Jogongje Embankment, Sangju |
|
![]() 상주 조공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대표명칭 | 상주 조공제 |
---|---|
영문명칭 | Jogongje Embankment, Sangju |
한자 | 尙州 趙公堤 |
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 504-1번지 외 1필지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기념물 제140호 |
지정(등록)일 | 2002년 7월 15일 |
분류 | 유적건조물/산업생산/농업/관개시설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3,369㎡ |
웹사이트 | 상주 조공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상주 조공제는 상주 목사 조병노가 농업에 필요한 물 관리를 위해 쌓은 제방이다. 조선 고종 10년(1873)에 세운 조공제비에 ‘동편은 물길이 허하여 가둘 수 없음에 흙을 쌓고 나무를 키우게 하였다.’, ‘일꾼들에게 명하여 돌을 실어다 쌓도록 하니 그 제방이 마침 성과 같았다.’라고 전하여 제방을 쌓은 목적을 알 수 있다. 현재는 돌과 흙으로 쌓은 길이 370m, 높이 2.5m, 폭 5m 정도가 남아 있다.
『상산지』에는 조공제의 자리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상주읍 터의 서쪽에 있는 산이 지네의 형상이라 지네의 독기가 읍기에 서리는 것을 막기 위해 지네와 상극인 밤나무 숲을 조성하고 율수라고 불렀다. 또 임진왜란 때 명장 정기룡 장군이 상주성 탈환을 위해 적을 공격할 당시에 이곳 동숲을 아군의 매복지로 정하여 왜적에게 대승을 거두고 성을 탈환했다는 기록도 있다. 이렇듯 상주 조공제는 조선 시대 물 관리와 농업 장려를 위한 중요한 유적일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의 흔적이 남아있기도 하며, 풍수지리학적으로도 큰 의미를 가진 역사유적이다.
영문
Jogongje Embankment, Sangju
영문 해설 내용
조공제는 문신 조병로(1816-1886)가 1871년 상주 목사로 부임한 후, 농업에 필요한 물을 관리하기 위해 쌓은 제방이다. 돌과 흙을 이용해 쌓았으며, 현재 남아있는 제방은 길이 370m, 높이 2.5m, 폭 5m 정도이다.
제방 남쪽 끝에는 이곳을 조성한 내역을 기록하여 1873년에 세운 비석이 세워져 있다. 비문에는 제방을 쌓은 이유와 축조 내력이 기록되어 있다.
1617년에 편찬된 상주 지역 읍지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의 명장 정기룡(1562-1622)이 이곳에 군사를 매복시켜서 왜적에게 대승을 거두고 상주성을 탈환했다고 한다.
또한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마을에 있는 산이 풍수지리상 지네의 형상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산 건너편에 지네와 상극인 밤나무로 숲을 조성하여 지네의 독기를 약화시켰다고 한다. 이로 보아 제방이 세워지기 전부터 마을을 보호하기 위한 비보림 역할을 했던 큰 밤나무 숲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자료
- (마을숲 이야기 71) 경북 상주의 조공제(밤 숲), 대동풍수지리 http://www.21fengshui.com/study/view.html?id=3-7-5-1-71 -> 전해지는 이야기 관련 내용, 실제 사진
- http://blog.daum.net/12977705/8724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