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성당 어은공소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0월 23일 (금) 04:41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안성당 어은공소
Eoeun Chapel of Jinan Catholic Church
진안성당 어은공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안성당 어은공소
영문명칭 Eoeun Chapel of Jinan Catholic Church
한자 鎭安聖堂 魚隱公所
주소 전북 진안군 진안읍 어은동길 23 (죽산리)
지정(등록) 종목 국가등록문화재 제28호
지정(등록)일 2002년 5월 31일
분류 등록문화재/기타/종교시설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1동 연면적 132.77㎡
웹사이트 진안성당 어은공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공소는 본당보다 작은 교회로, 천주교에서 신부가 상주하지 않는 예배소나 그 구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어은공소는 진안 지역의 첫 천주교 본당이다. 이 건물은 천주교 박해를 피해 이주해 온 천주교인들이 어은동 마을에 신앙촌을 형성하면서 1888년에 전주 본당(현 전동성당)에서 관할하는 공소가 되었다. 이후 신도가 늘어나자 1900년 본당으로 승격되었고 몇 차례 공소를 확장하였다. 1909년에는 돌 너와로 지붕을 얹은 정면 6칸, 측면 4칸의 아(亞) 자 모양 한옥 건물로 성당을 새로 준공하였다. 내부는 줄기둥이 주 공간과 복도를 나누는 바실리카 양식*으로 되어 있다. 당시 남자와 여자 사이에는 분별이 있어야 한다는 유교 관습에 따라 중앙 기둥 사이의 칸막이로 남자와 여자가 앉는 자리를 구분하고 출입구를 따로 내었다. 서양 성당의 건축 양식을 한옥 건축 양식과 절충한 이 건물은 우리나라 천주교회사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 바실리카 양식: 초기 기독교 건축의 평면 양식. 교회 중앙의 통로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신도들이 앉는 자리가 배치되어 있다.

영문

Eoeun Chapel of Jinan Catholic Church

This small chapel located in Eoeun Village was a chapel-of-ease, called gongso in Korean, for Catholic followers who lived far away from the local parish. A priest does not usually reside in a chapel-of-ease, but visits regularly to hold mass.

During the large-scale persecution of Catholics in the 18th century, Catholic followers sought refuge in Eoeun Village which grew into a religious settlement. In 1888, a chapel-of-ease was established in the village under the Diocese of Jeonju. The number of parishioners continued to grow, so in 1900, it was promoted to parish church, thus making it the first parish church to be established in the Jinan area. In 1909, the current chapel building was built. It remained the parish church of Jinan until 1922, when the parish church was moved to Yeonjang-ri. From 1947 to 1956, it again served as the parish church, until the current parish church was built in Jinan-eup.

The church was constructed in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al style, but the interior follows the layout of Western churches, with an aisle in the center and pews on each side. It is said that there were originally separate entrances for men and women in accordance with Confucian custom, and a partition was installed down the center aisle to separate the men’s and women’s spaces.

영문 해설 내용

공소란 천주교 신자들을 위한 작은 예배소이다. 평상시에는 신부가 상주하지 않고, 정기적으로 신부가 방문했을 때 미사를 집전한다.

18세기 천주교 박해를 피해 이주해 온 천주교인들이 어은동 마을에 신앙촌을 형성하면서 1888년에 전주교구에서 관할하는 공소가 세워졌다. 이후 신도가 늘어나자 1900년 진안 지역 최초의 본당으로 승격되었으며, 1909년에는 현재의 성당 건물을 새로 지었다. 진안 지역의 본당은 1922년 지금의 연장리 지역으로 옮겼다가, 1947년 다시 이곳으로 돌아왔고, 1956년 진안읍에 현재의 본당이 세워졌다.

성당 건물은 전통 한옥 양식으로 지었지만, 내부 구조는 서양 성당의 평면 양식을 따라 중앙의 통로를 중심으로 양쪽에 좌석을 두었다. 원래는 유교 관습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출입구를 따로 내었고, 내부에도 중앙의 기둥들 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남녀의 공간을 구분했었다고 한다.

참고자료

  • 세월의 흔적, 근대문화 역사유산, 지역N문화 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868 -> 어은공소는 정면이 긴 한옥이다. 내부는 오른쪽 끝으로 제대(祭臺)가 설치되어 있고, 가운데는 신도석인데, 서양의 바실리카 성당과 같은 공간 구조를 보인다. ...... 바실리카 성당 내부는 세 부분으로 나뉘지만, 어은 공소는 남·여 신도석을 구분하는 나무기둥이 있어 네 부분으로 구분되는 점이 특이하다. / 어은공소는 원래 팔작지붕에 너와를 얹었다. 지붕의 무게 때문에 1967년 가벼운 함석으로 바뀌었다가 2002년 등록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면서 함석을 청석으로 교체했다. / 1909년 어은동에 성당을 지은 김양홍 신부는 성당의 사랑채에 영신 학교라는 서양 근대 학문을 가르치는 학교를 열었다고 한다. 영신 학교는 현재 흔적을 찾을 수 없다.
  • 전라북도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jbgokr/220530769265 -> 매월 첫 주 목요일 오전 7시에 미사를 올린다.
  • 전주교구 어은동 공소, good news 성지 https://maria.catholic.or.kr/sa_ho/list/view.asp?menugubun=holyplace&ctxtOrgNum=2855 - > 한들 공소에 본당 자리를 넘겨주고 공소로 편입된 가장 큰 이유는 어은동이 산속 깊은 골짜기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 물고기가 숨은 형상이라고 해서 ‘어은동’이라고 불렀는데 물고기는 로마 교회 박해 시대에 신자들이 서로를 알아보던 암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