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림고택
청도 운림고택 Ullim House, Cheongdo |
|
대표명칭 | 청도 운림고택 |
---|---|
영문명칭 | Ullim House, Cheongdo |
한자 | 淸道 雲林古宅 |
주소 | 경북 청도군 금천면 임당2길 14 (임당리) |
지정(등록) 종목 | 국가민속문화재 제245호 |
지정(등록)일 | 2005년 1월 3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2필지/3,708㎡ |
웹사이트 | 청도 운림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청도 운림 고택은 구한말의 내시(內寺)로 상선(종2품)의 품계를 받은 운림 김병익(金秉翼, 1842~1925)이 건립했다고 전한다. 청도 임당리는 조선 중기부터 400여 년간 내시 가문이 살았던 곳이며 이 집에서 나온 가계 문서에는 내시들의 2세부터 16세까지 이름과 실제 관직, 부인의 본관, 산소의 위치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 집은 큰 사랑채, 중 사랑채, 안채, 큰 고방채, 작은 고방채, 사당, 대문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채는 대궐 쪽 방향인 북향으로 놓여 있다. 큰 사랑채에서는 대문부터 안채로 들어가는 동선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으며, 중사랑채 좌측의 겹문을 통해서만 안채로 드나들 수 있다. 이러한 가옥 구조는 보통의 양반 가옥보다 더욱 엄격하게 안채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구조이다.
청도 운림 고택은 서울·경기지역 외에 남아 있는 유일한 내시 가옥으로, 조선시대 가옥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영문
Ullim House, Cheongdo
영문 해설 내용
운림고택은 조선 말의 내시였던 김병익(1842-1925, 호: 운림)이 지었다고 전해진다. 서울과 경기 이외의 지역에 남아 있는 유일한 내시 가옥이다.
이 집은 큰사랑채, 중사랑채, 안채, 큰 고방채, 작은 고방채, 사당, 대문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대궐 쪽 방향인 북향으로 놓여 있다. 큰사랑채에서는 대문부터 안채로 들어가는 동선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했으며, 중사랑채 왼쪽에 있는 문을 통해서만 안채로 드나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보통의 양반 가옥보다 더욱 엄격하게 안채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구조이다.
청도 임당리는 조선 중기부터 400여 년간 내시 가문이 살았던 곳이다. 이 집에서 나온 가계문서에는 이 가문의 2세부터 16세까지 이름, 관직, 부인의 본관, 산소의 위치 등이 기록되어 있다.
참고자료
- 장희흥, 「조선후기 청도 내시부 통정 김일준가의 가계 계승」, 『역사민속학』 46, 2014, 314쪽 주석(4) -> 이성(異性), 독자(獨子)로 가계 계승. 김일준 가계문서 2~15세 이름과 실직, 부인의 본관, 산소 위치 기록
- 청도 운림 고택, 『디지털청도문화대전』
- 청도 운림 고택, 『지나간 시간을 읽다-민속문화재, 이야기를 입다』(문화재청, 2017)
- 청도 운림 고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