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양동마을
경주 양동마을 Yangdong Village, Gyeongju |
|
대표명칭 | 경주 양동마을 |
---|---|
영문명칭 | Yangdong Village, Gyeongju |
한자 | 慶州 良洞마을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길 134 |
지정(등록) 종목 | 국가민속문화재 제189호 |
지정(등록)일 | 1984년 12월 24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마을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474필지/969,115㎡ |
웹사이트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해설문
국문
이 마을은 조선시대 전통문화와 자연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한국 최대 규모의 전통마을이다. 경주손씨와 여주이씨를 중심으로 형성된 씨족마을로 500년이 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양민공 손소(襄敏公 孫昭, 1433~1484)가 풍덕류씨와 혼인하여 처가가 있는 이곳에 들어온 것을 계기로 경주손씨가 양동마을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여주이씨는 찬성공 이번(贊成公 李蕃, 1463~1500)이 손소의 사위가 되면서 이 마을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조선 전기에는 이처럼 혼인한 신랑이 처가를 따라가서 사는 풍습이 있었다. 그동안 두 집안에서는 우재 손중돈(愚齋 孫仲暾, 1463~1529)과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1553) 등 많은 유학자를 배출하였다.
마을 앞으로는 안강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으며, 설창산 산줄기에 마을이 들어선 모양새가 독특하고 아름답다. 산에서 뻗어내린 네 줄기의 능선과 골짜기를 따라 150여 채의 옛집들이 굽이굽이 들어서 있는데, 이 중에서는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1598) 이전에 지어진 기와집이 네 채나 남아 있어 눈여겨 볼만하다. 집들은 대개 ‘ㅁ’자 모양인데, 이는 조선 중기 영남지방의 일반적인 가옥 형태이다. 다양한 가옥의 조화는 우리나라 전통역사마을의 생활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마을 주변의 산, 들판, 강 등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함께 ‘하늘의 별처럼 늘어서 있는 마을의 고택(星羅古宅)’은 진풍경이다. 양동마을은 전체가 국가민속문화재(1984), 세계문화유산(2010), 형산강팔경(2016)으로 선정되어 보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