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휴정
만휴정 |
|
대표명칭 | 만휴정 |
---|---|
한자 | 晩休亭 |
주소 | 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하리길 42 (묵계리)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3호 |
지정(등록)일 | 1986년 12월 1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
수량/면적 | 1동 |
웹사이트 | 만휴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만휴정은 조선 전기 때 문신이었던 김계행(金係行, 1431~1517)이 말년에 독서와 학문을 연구하려고 1500년에 지은 정자이다.
김계행은 1480년 50세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살이를 하다가 연산군의 폭정이 시작되자 향리로 돌아와 숨어 살았다. 그는 청백리*로 유명하였다. 보백당(寶白堂)이라는 호는 그가 일찍이 읊었던 시 구절 가운데 ‘우리 집에는 보물이 없지만 보물로 여기는 것은 청렴과 결백이네[吾家無寶物, 寶物惟淸白].’라는 글에서 따왔다. 1498년에 안동에 내려와 지은 집의 이름도 그의 호를 따서 ‘보백당’이라 하였다.
보백당 바로 옆에 지은 정자인 만휴정의 이름은 ‘말년에 쉬는 정자’라는 의미로 지었다. 정자 아래 바위에는 ‘보백당만휴정천석(寶白堂晩休亭泉石)’이란 큰 글씨를 새겨 놓았는데, ‘보백당이 말년에 쉬는 정자와 산수의 경치’라는 의미이다.
- 청백리(淸白吏): 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이 곧고 깨끗한 관리.
영문
Manhyujeong Pavilion
This house was built in 1500 by Kim Gye-haeng (1431-1517), a civil official of the early Joseon period (1392-1910) and a descendant of the Andong Kim Clan. He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mostly inspecting other officials as well as the king.
He was well known for his integrity and upright personality as his favorite poem goes, “In my house there is no treasure; The only treasure I have is purity and integrity.” Thus his penname was “Bobaekdang 寶白堂,” meaning “A house of which treasure is integrity.” This house, built in 1498 after his retirement to study and give lectures, was named after this penname.
This pavilion, standing next to the Bobaekdang house, was named “Manhyujeong 晩休亭,” meaning “A pavilion of rest at dusk.” At the foot of this pavilion, there is a rock which bears an inscription including these names, referring to “the pavilion and the beautiful scenery where Bobaekdang [the owner, Kim Gye-haeng] enjoyed his latter years.”
- 인물 설명-건물 설명으로 순서를 약간 바꾸었습니다. 연산군 관련 이야기는 생략했습니다.
영문 해설 내용
만휴정은 조선 전기의 문신 김계행(金係行, 1431~1517)이 말년에 독서와 강학을 하기 위해 1500년에 지은 정자이다.
김계행은 1480년 50세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특히 관리들의 감찰과 탄핵을 주로 하는 관서의 요직을 두루 지내면서 임금의 잘못을 지적하여 바로잡는 일에 힘썼다. 연산군 대에 왕의 외척들의 잘못을 왕에게 지적하였으나, 고쳐질 가망이 없자 벼슬을 버리고 안동 풍산에 은거하였다.
그는 청백리로 유명하였는데, 보백당(寶白堂)이라는 호는 그가 일찍이 읊었던 시 구절 가운데 ‘우리 집에는 보물이 없지만 보물로 여기는 것은 청렴과 결백이네[吾家無寶物, 寶物惟淸白]’라는 글에서 따온 것이다. 1498년에 안동에 내려와 지은 집의 이름도 그의 호를 따서 보백당이라 하였다.
보백당 바로 옆에 지은 정자인 만휴정의 이름은 ‘말년에 쉬는 정자’라는 의미에서 지은 것이다. 정자 아래 바위에는 ‘보백당만휴정천석(寶白堂晩休亭泉石)’이란 큰 글씨를 새겨 놓았는데, ‘보백당이 말년에 쉬는 정자와 산수의 경치’라는 의미이다.
참고자료
- 황만기, 「만휴정과 영남 선비들의 교류」, 『국학연구』 33, 한국국학진흥원, 2017.
- 정시열, 「寶白堂 金係行의 인물됨과 처신에 대한 一考 - ‘淸白’의 실천과 후대 遺文을 통한 탐색」, 『국학연구』 33, 한국국학진흥원, 2017.
→ 위의 자료를 통해 김계행의 청렴한 삶과 그의 자호에 관한 일, 그리고 만휴정에서의 강학과 교류 문인들에 대해 알 수 있다.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3호 만휴정 (晩休亭),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2&searchCondition=%eb%a7%8c%ed%9c%b4%ec%a0%95&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31&ccbaAsno=01730000&ccbaCtcd=37&ccbaCpno=341370173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5_1_1_0
- 만휴정,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