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상주 취은고택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18일 (금) 03:0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상주취은고택.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5820000 상주 취은고택], 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상주 취은고택
상주 취은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상주 취은고택
한자 尙州 醉隱古宅
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골가실1길 138-7 (공성면)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82호
지정일 2011년 1월 3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2동
웹사이트 상주 취은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상주 취은고택은 여산 송씨 정가공파의 송덕부(1603~1674)가 골가실 마을로 이사와 짓고 그 후손들이 대대로 살면서 고친 살림집이다. 취은은 송덕부의 호(號)를 딴 것이다. 건물은 약 500m 길이의 흙돌담 안에 안채, 사랑채, 안대문채, 바깥대문채, 우물채, 곳간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취은고택은 전체적인 구조와 넓은 뒷마당에 오래된 흙돌담이 조선 시대 상류 주택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각 채가 바라보는 방향이 다르고 안대문채와 사랑채가 따로 떨어져 있는 점, 안채와 사랑채의 각 방이 앞뒤로 겹쳐 있는 점 등은 조선 후기 상류주택의 지역적 특성 및 건립시기별 건축적 특성을 밝힐 중요한 자료이다.

건물은 사방 산으로 둘러싸인 골짜기 앞으로 넓은 경작지가 있는 마을 복판에 지어졌다. 제일 바깥에 있는 바깥대문채는 북동쪽을 바라보는 초가집이고, 안대문채와 사랑채, 안채는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다. 안채와 안대문채는 동향, 사랑채는 동북향으로 각 채의 방향이 다른 점이 특징이다. 안채 뒤로는 별도로 흙돌담 안에 넓은 뒷마당이 있다. 안채는 부엌, 안방, 대청, 건넌방 순으로 배열된 앞면 6칸, 옆면 2칸 규모이고, 정지를 제외한 방과 대청 앞에는 툇간이 있다. 사랑채는 앞면 3칸, 옆면 2칸의 겹집형 건물로 오른쪽에는 툇마루와 한 칸 반의 온돌방이 있고, 왼쪽에는 2칸의 마루, 2칸의 온돌방이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여산 송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아온 살림집이다.

송덕부(1603-1674, 호 취은)가 이 마을에 정착하면서 집을 지었고, 그 후손들이 살면서 건물들을 중수해 19세기 전반에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고 한다.

집은 안채, 사랑채, 안대문채, 바깥대문채, 우물채, 곳간채로 이루어져 있다.

500m 길이의 흙돌담 안에 건물을 두고, 건물 사이에 다시 담장을 두어 공간을 구분했으며, 안채 뒤쪽에 농사일을 위해 큰 규모의 마당을 두었다.

안채와 안대문채는 동향, 사랑채는 동북향으로 건물의 방향이 다르게 되어있는 점, 안채로 향하는 중문(안대문채)과 사랑채가 따로 떨어져 있는 점, 안채와 사랑채가 겹집 구조로 되어있는 점 등이 이 집의 특징이다.

마을 중앙에 위치한 이 집을 마을의 다른 집들이 둘러싸고 있는 모습인데, 이는 마을 대지주의 집을 중심으로 소작인들의 집이 형성되었던 사례를 보여준다.

  • 바깥대문채만 초가 지붕을 올렸다.
  • 대지주의 주택으로 50여 가구로 둘러싸인 골가실 마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 사람들이 대부분 소작농이었던 까닭에 地主의 집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소작인들의 집이 형성된 독특한 ‘지주중심 농가형마을’의 모습을 보여준다. -> 기울임꼴 내용으로 다시 정리.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