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사 부도
문수사부도 Stupa of Munsusa Temple |
|
대표명칭 | 문수사부도 |
---|---|
영문명칭 | Stupa of Munsusa Temple |
한자 | 文殊寺 浮屠 |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48(칠성길 135) |
지정(등록) 종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54호 |
지정(등록)일 | 1997년 7월 18일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2기 |
웹사이트 | 문수사 부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부도'는 승려나 신도를 화장한 후에 나온 유골이나 사리*를 안치한 탑으로, ‘승탑’이라고도 한다. 문수사 부도는 문수사에 있는 부도이다. 문수사 대웅전을 지은 승려 성오와 상유의 사리도 있다고 전하나, 현존하는 부도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부도는 각각 ‘진주강씨’와 ‘송청정심’이라는 명문이 있는 것으로 보아, 문수사 중창과 관련한 신도의 부도로 추정한다.
부도의 높이는 250cm 내외이다. 받침대에서부터 맨 위의 덮개돌까지 모두 8각이어서 ‘팔각 원당형’이라고 부른다. 이는 통일 신라 시대 이후 조선 시대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져 온 전형적 부도 양식이다. 조선 후기에 제작한 부도로는 드물게 규모가 크고, 섬세하며 균형미를 갖추었다. 부도 중에는 정면에 태극 문양을 조각한 것도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부도 2기는 고려 시대의 양식을 잘 보여 주는 장흥 보림사의 서쪽 부도와 유사해, 부도 양식을 연구하는 데에 좋은 자료이다.
- 사리: 참된 수행의 결과로 생긴다는 구슬 모양의 유골
영문
Stupa of Munsusa Temple
영문 해설 내용
부도는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모셔 놓은 일종의 무덤이다.
이곳에 있는 6기의 부도는 누구의 것인지 밝혀지지 않았다. 맨 오른쪽의 2기는 문수사 중창에 관여한 신도의 것으로 추정된다.
왼쪽에서 두번째와 세번째에 있는 팔각형의 승탑 2기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2기 모두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사각형의 기단, 몸돌, 지붕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맨꼭대기에는 구슬 모양의 머리장식이 있다. 몸돌 중앙에는 태극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높이는 2.5m 내외로, 조선 후기의 부도 중에서는 규모가 큰 편이다.
참고자료
- 고창 문화원 http://www.gcculture.com/php/board.php?board=gc22&page=6&command=body&no=24 -> 기본 정보 확인
- 부도군은 단풍나무 숲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면서 현재 출입이 통제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참고 : 알록달록 단풍 길을 따라 걷다 ‘깨달음 이루는 혜안의 지혜’ 문수보살 만나다, 불교신문 2011.12.8.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977 -> 단풍 길에서 불이문과 반대방향으로 부도전이 있다. 부도전으로 향하는 길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단풍군락의 한 가운데를 지나는 관계로 일반인의 출입은 금하고 있다. )
- 108산사 순례기도회 http://www.108sansa.com/bbs/sub10_1/287932 -> 문수사 입구에 있는 문수사 공덕주묵암비와 묵암대선사의 공적비에서 오른쪽으로 50m 되는 곳에 4기의 부도가 있고, 그곳에서 다시 남쪽으로 40m 되는 곳에 6기의 부도가 있다.
- 산사까지 100m 번뇌도 숨죽인 '단풍 터널', 주간한국, 2011. 11.1. http://weekly.hankooki.com/lpage/coverstory/201111/wk20111101172052121180.htm -> 이 6기의 부도 가운데 동쪽에서 두 번째의 문수사 부도와 세 번째의 문수사회적당 부도는 신라와 고려시대 부도의 전형적인 형태인 팔각 원당형으로 세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