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분황사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25일 (목) 18:2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분황사지
Bunhwangsa Temple Site, Gyeongju
경주 분황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분황사지
영문명칭 Bunhwangsa Temple Site, Gyeongju
한자 慶州 芬皇寺址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월성동 분황로 94-11
지정(등록) 종목 사적 제548호
지정(등록)일 2019년 2월 26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수량/면적 28,703
웹사이트 경주 분황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3년(634)에 창건된 이래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다. 3금당(三金堂)과 강당을 갖춘 큰 절이었으나, 고려 고종 25년(1238)의 몽고침입과 조선시대 임진왜란,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대부분의 건물들이 없어지고 여러 차례 새로 지어지면서 축소되었다. 보광전(普光殿)이 중심 건물이 된 지금의 분황사는 광해군 원년(1609)에 다시 지어진 것이다.

신라를 대표하는 고승인 자장(慈藏, 590∼658)이 이 절에 머물렀고, 원효(元曉, 617~686)는 이곳에서 󰡔화엄경소(華嚴經疏)󰡕, 󰡔금광명경소(金光明經疏)󰡕 등을 저술하였다. 그의 아들 설총은 원효의 유해로 소상(塑像)*을 만들어 이곳에 모셨다고 한다. 솔거(率居)가 그린 관음보살상 벽화가 있었고, 경덕왕(재위 742∼765)때 강고내말(强古乃末)이 약사여래상을 조성하였다고 한다. 또 희명(希明)의 다섯 살 난 아이가 갑자기 눈이 멀자 분황사의 천수대비 앞에 가서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를 부르면서 빌었더니 눈을 뜨게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절에는 국보 제30호 모전석탑, 원효대사비의 받침돌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 화쟁국사비부, 호국용이 살았다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9호 석정(石井) 등 많은 석조문화재가 남아있다.


  • 소상(塑像): 찰흙으로 만든 사람의 형상(形像).

영문

Bunhwangsa Temple Site, Gyeongju

Bunhwangsa is a historic temple founded in 634. It was originally a large temple with three main worship halls and a lecture hall. Most of its buildings were destroyed in the Mongol invasion of 1238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and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temple was rebuilt several times but never to its original scale. The current Bunhwangsa Temple dates to 1609.

This temple site is known for being the place where two eminent monks of Silla, namely Jajang (590-658) and Wonhyo (617-686), stayed and spread Buddhism.

A story related to the temple was passed down through a folk song composed in the mid-8th century. According to the story, a woman named Huimyeong had a son who suddenly became blind at the age of five. She took her son to this temple and, in front of the Avalokitesvara with 1,000 Hands, she sang a prayer for her son to see, which was eventually fulfilled.

Inside the complex, there are many remaining stone structures such as a stone brick pagoda (National Treasure No. 30), the pedestal of a stele honoring monk Wonhyo (Gyeongsangbuk-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97), and a stone well that conveys the message that the dragon who protects the country is alive (Gyeongsang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9).

영문 해설 내용

분황사는 634년에 창건된 유서깊은 사찰이다. 원래 3개의 금당과 강당을 갖춘 큰 절이었다. 고려시대인 1238년 몽고침입과 조선시대의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대부분의 건물들이 없어지고, 여러 차례 새로 지어지면서 규모가 축소되었다. 지금의 분황사는 1609년에 다시 지어진 것이다.

이곳은 신라를 대표하는 고승 자장(590-658)과 원효(617-686)가 머무르면서 불법을 전파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8세기 중엽에 지어진 ‘도천수관음가’라는 향가와 관련한 설화도 전해진다. 희명이라는 이름의 여인에게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 다섯 살에 갑자기 눈이 멀게 되었다. 이에 희명이 아이를 데리고 분황사의 천수관음 앞에서 노래를 부르면서 소원을 빌자 아이가 눈을 뜨게 되었다고 한다.

경내에는 모전석탑(국보 제30호)과 원효대사비의 받침돌인 화쟁국사비부(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 나라를 지키는 용이 살았다고 하는 석정(石井,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9호) 등 많은 석조문화재가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