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모암 목조여래좌상
대모암 목조여래좌상 Wooden Seated Buddha of Daemoam Hermitage |
|
대표명칭 | 대모암 목조여래좌상 |
---|---|
영문명칭 | Wooden Seated Buddha of Daemoam Hermitage |
한자 | 大母庵 木造如來坐像 |
주소 | 전라북도 |
지정(등록) 종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48호 |
지정(등록)일 | 2017년 3월 31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대모암 목조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이 불상은 17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여래상이다. 여래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덕성을 표현하는 열 가지 이름 중 하나이다.
원래 강천사의 부속 암자인 연대암에 있던 불상이라고 전해진다. 일제강점기 말에 대모암으로 옮겨와 1993년에 새로 지은 대웅전에 모셨다.
이 불상은 양손을 무릎 위에 올린 자세를 하고 있으며,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다. 이러한 자세는 17세기 중반 이후 조성된 불상에서 주로 나타난다. 사각형의 얼굴과 신체, 오른쪽 어깨의 타원형 주름, 두 다리 사이의 폭이 넓고 단순화된 옷 주름 등으로 보아 17세기에 활동했던 승려 조각가 희장(熙藏)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복장 유물로는 『작법귀감(作法龜鑑)』, 『보장록(寶藏錄)』 등 다양한 불교관련 서적이 발견되어 학술연구 등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영문
Wooden Seated Buddha of Daemoam Hermitage
영문 해설 내용
이 불상은 17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강천사의 부속암자인 연대암에 있던 불상이라고 전해진다. 일제강점기 말에 대모암으로 옮겨 왔고 1993년에 새로 지은 대웅전에서 모시고 있다.
이 불상은 양손을 무릎 위에 올린 자세를 하고 있으며,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다. 이러한 자세는 17세기 중반 이후 조성된 불상에서 주로 나타난다. 사각형의 얼굴과 신체, 오른쪽 어깨의 타원형 주름, 두 다리 사이의 폭이 넓고 단순화된 옷주름 등으로 보아 17세기에 활동했던 승려조각가 희장(熙藏)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자료
- 송은석, 「조선후기 17세기 조각승 희장과 희장파의 조상(造像)」, 『태동고전연구』 22,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6.
- 대모암 목조여래좌상(大母庵 木造如來坐像),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3502480000
- 대모암,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