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포석정지
경주 포석정지 Poseokjeong Pavilion Site, Gyeongju |
|
대표명칭 | 경주 포석정지 |
---|---|
영문명칭 | Poseokjeong Pavilion Site, Gyeongju |
한자 | 慶州 鮑石亭址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454-1 |
지정(등록) 종목 | 사적 제1호 |
지정(등록)일 | 1963년 1월 2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인물사건/역사사건/역사사건 |
시대 | 통일신라 |
수량/면적 | 5,234㎡ |
웹사이트 | 경주 포석정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경주 남산 서쪽 기슭에 있는 유배거(流杯渠)* 유적으로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을 하던 연회장소로 추정하고 있다.
원래 남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받아 토해내는 돌거북이 있고, 이 물이 돌로 만든 구불구불한 물길을 따라 흘러 되돌아오는 구조이다. 물이 흐를 때 주 흐름에 반해서 생기는 회돌이 현상(渦流)을 이용한 것이다. 지금은 일제 강점기에 물길을 임의로 보수하면서 원형이 많이 파손된 상태이고, 배수구의 마무리도 분명하지 않다. 물길의 깊이는 20cm 정도, 전체 길이는 22m에 이르고, 물길의 상하 높이 차이는 5.9cm 정도이다.
1999년 주변 일부를 발굴조사할 때 ‘포석(砲石)’이라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었다. 포석사(鮑石祠)라는 기록과 발굴조사에서 이곳에 큰 규모의 건물이 있었고, 제사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유물들이 출토되면서 포석정이 연회를 즐기던 정원이 아니라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제사 의식을 거행하던 곳이라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기록에는 신라 헌강왕(재위 875~886)이 이곳에 와서 남산신(南山神)의 춤을 보고 따라 추었다고 하며, 927년 겨울, 후백제왕 견훤(甄萱)에 의해 경애왕(재위 924~927)이 자결을 강요당했던 장소로 언급되어 있다.
- 유배거(流杯渠) : 잔을 물에 띄워 흐르게 한 도랑.
-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 : 굽이도는 물에 술잔을 띄워 놓고 그 술잔이 자기 앞에 오면 시를 읊으며 놀던 놀이. 중국 동진(東晉)의 서예가인 왕희지는 친구들과 함께 물 위에 술잔을 띄워 술잔이 자기 앞에 오는 동안 시를 읊어야 하며 시를 짓지 못하면 벌로 술 3잔을 마시는 잔치를 벌였다고 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중국의 명필 왕희지가 즐겼던 ‘유상곡수연’을 모방해 만들어진 신라시대의 연회장소로 추정되는 유적이다.
조성 시기는 정확하지 않지만 신라 헌강왕(875~885)때로 보고 있으며, 남산 서쪽 기슭에 위치한다.
유상곡수연은 물 위에 술잔을 띄워 술잔이 자기 앞에 올 때까지 시를 짓지 못하면 벌로 술 3잔을 마시는 놀이이다.
본래 남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받아 돌로 만든 구불구불한 물길로 연결하는 돌거북이 있었고, 물길 안에서 물이 되돌아 흐르는 구조였다고 한다.
지금은 일제강점기에 물길을 임의로 보수하면서 원형이 많이 파손된 상태이며, 배수구의 마무리도 분명하지 않다.
1999년 주변 일부를 발굴 조사할 때 ‘포석(砲石)’이라 새겨진 기와와 제사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인근에 큰 규모의 건물도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어 포석정이 통일신라 후기에 제사 의식을 거행하기 위해 조성된 곳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 927년 후백제왕 견훤이 경애왕(재위 924~927)에게 자결을 강요했던 장소로도 언급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