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무량사구지

HeritageWiki
Kurt116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5월 13일 (수) 15:01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무량사구지
Former Site of Muryangsa Temple
부여무량사구지.jpg
대표명칭 무량사구지
영문명칭 Former Site of Muryangsa Temple
한자 無量寺舊址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96-1번지
지정(등록) 종목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1호
지정(등록)일 2002년 1월 10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수량/면적 6,600㎡
웹사이트 무량사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만수산 남쪽 기슭에 자리한 무량사는 통일 신라 문성왕(839-857) 때 범일 국사(梵日 國師)가 지은 사찰이다. 정유재란 때 불에 타 없어졌으나 다시 지어져 지금에 이르고 있다.

만수천을 경계로 만수천의 서쪽에는 오층 석탑, 석등 무량사의 중심 건물인 극락전이 있으며 그 주변에는 부속 건물인 명부전, 천불전 등이 있다. 만수천 동쪽의 넓은 지역은 옛 절터로 알려져 있는데 2003년 학술 발굴 조사에서 여러 동의 건물 기단 석열*과 주춧돌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무량사가 언제 지어졌는지 유추할 수 있는 통일 신라 연꽃무늬 수막새**가 출토되기도 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이곳에서 확인된 여러 건물터 가운데 현재 극락전과 비슷한 규모의 건물터에서 적심***이 발견되었고, 이들 주변에서는 고려 시대의 명문 기와를 비롯한 많은 양의 무량사 명문 기와도 출토되었다.

무량사에는 무량사 오층 석탑(보물 제185호) , 무량사 오층 석탑 출토 금동 불상 일괄(보물 제2060호), 무량사 석등(보물 제233호), 무량사 극락전(보물 제356호)이 있으며, 그 외에도 미륵불 괘불탱(보물 제1265호), 김시습 초상화(보물 제1497호), 소조 아미타여래 삼존 좌상(보물 제1565호), 삼전패(보물 제1860호) 등의 국가지정문화재와 매월당 김시습 부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호), 당간지주(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7호), 무량사 동종(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지장보살 및 시왕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등의 지방 문화재가 있다. 이처럼 많은 국가 문화재와 지방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어 가치가 높은 중요한 사찰로 평가된다.


  • 석열: 선돌 따위가 엇비슷한 간격으로 길게 줄지어 늘어선 무리
  • 수막새: 수키와의끝에달린부분.
  • 적심: 마루나 서까래의 뒷목을 보강하기 위하여 큰 원목을 눌러 박은 것.

영문

Former Site of Muryangsa Temple

This is the former site of Muryansa Temple, which was built here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9th century. Today, Muryansa Temple is located on the western bank of Mansucheon Stream but originally, it was a much bigger complex occupying this area on the eastern bank as well. The temple continued expanding up until the Joseon period (1392-1910) but unfortunately, most of it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 large-scale restoration of the temple took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r. 1623-1649), and it is when the central space of the temple was moved from this area to the western bank. During the 2000s, a series of excavation surveys were conducted at this site, revealing several buildings sites, pillar base stones, remains of a stone wall, and (a) convex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s dating back to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One of the discovered building sites is presumed to have been similar in size to Geungnakjeon Hall, which is currently the main worship hall of the temple. Other excavated artifacts include roof tiles shards with the years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namely, 971CE, 1045CE, and 1056CE, as well as the names of the buildings, such as Mireukdang Hall and Dining Hall* engraved on them.

The temple underwent several repairs after its reconstruction in the 17th century. Now it is home to a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which include a five-story stone pagoda (Treasure No. 185), a stone lantern (Treasure No. 233), Geungnakjeon Hall (Treasure No. 356), a hanging painting of Maitreya Buddha (Treasure No. 1265), a portrait of Kim Si-seup (Treasure No. 1497), a clay seated statue of Amitabha Buddha triad (Treasure No. 1565), wooden tablets for the Buddha triad (Treasure No. 1860), gilt bronze Buddhist(?) statues from the five-story stone pagoda (Treasure No. 2060), a stupa of Kim Si-seup (Chungcheongnam-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25), flagpole supports (Chungcheongnam-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57), a bronze bell (Chungcheongnam-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62), and statues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Chungcheongnam-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76).


  • 食堂?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 중반 무량사가 창건되었던 옛터이다. 현재 무량사는 만수산에서 흘러내린 만수천의 서쪽 영역에 자리를 잡고 있으나, 원래는 만수천의 동쪽 영역인 이곳까지도 포함하는 대규모의 사찰이었다. 조선시대까지 사세가 크게 확장되었던 무량사는 안타깝게도 임진왜란 때 전각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이후 인조(재위 1623-1649) 대에 대대적인 재건이 이루어졌는데, 이때 사찰의 중심공간이 만수천 서쪽 영역으로 옮겨가고 이곳은 재건되지 않았다.

2000년대에 이곳 무량사 구지에서 여러 차례에 걸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여러 동의 건물지, 초석, 담장 유구 등이 발견되었고, 통일신라시대의 연꽃무늬 수막새가 출토되기도 하였다. 발견된 건물지 중에는 현재 무량사의 중심법당인 극락전과 비슷한 규모의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고려시대인 971년, 1045년, 1056년 등과 ‘무량사’라는 이름이 새겨진 기와 조각이 다량 출토되었으며, ‘미륵당’, ‘식당’ 등 건물의 명칭이 새겨진 기와 조각도 발견되었다.

현재의 무량사는 17세기에 재건된 이후에도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경내에는 5층석탑(보물 제185호), 석등(보물 제233호), 극락전(보물 제356호), 미륵불 괘불탱(보물 제1265호), 김시습 초상화(보물 제1497호),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565호), 삼전패(보물 제1860호), 5층석탑 출토 금동불상일괄(보물 제2060호), 김시습 부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호), 당간지주(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7호), 동종(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지장보살 및 시왕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등의 문화유산이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