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반룡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5월 2일 (토) 11:0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경산 반룡사 |영문명칭=Ballyongsa Temple |한자=慶山 盤龍寺 |주소=경상북도 경산시 용...)
경산 반룡사 Ballyongsa Temple |
|
대표명칭 | 경산 반룡사 |
---|---|
영문명칭 | Ballyongsa Temple |
한자 | 慶山 盤龍寺 |
주소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용전1길 60 |
|
해설문
국문
반룡사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 대사가 처음 세운 것으로 전한다. 고려 중기에 원응 국사(圓應國師)가 신흥암(新興庵)이라는 이름으로 고쳐서 다시 지었다.
『경상도읍지』의 「내원암 누각 창건기문(內院菴樓閣刱建記文)」과 「반룡사 사적비문(盤龍寺事蹟碑文)」을 보면, 조선 인조 1년(1623)부터 숙종 26년(1700)까지 대광전(大光殿)·가허루(駕虛樓)·원음전(圓音殿)·향적루(香積樓) 등 25개의 전각을 더 지었다고 한다. 또 내원암(內院庵)·취운암(翠雲庵) 등 5개의 암자가 있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탔다. 인조 19년(1641)에는 계운(戒雲)과 명언(明彦) 스님이, 1920년에는 운학(雲鶴) 스님이 절을 다시 지었다. 반룡사가 만들었거나 반룡사가 가지고 있던 것들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데, 1654년에 만든 청도 대운암의 목조관음보살 좌상(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09호), 1667년에 만든 포항 보경사의 서운암 동종(보물 제11-1호), 밀양 표충사에 보관하고 있는 금강반야바라밀경 경판(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293호) 등이 그것이다.
반룡사 중심 건물의 기단 면석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는 화문면석 부재部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57호로 지정되어 절 안에 보관되어 있다.
- 면석面石: 상층기단과 하층기단의 주축부로 네 면을 이루는 벽체부분.
- 부재: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 여러 가지 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