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모암 목조여래좌상
대모암 목조여래좌상 |
|
대표명칭 | 대모암 목조여래좌상 |
---|---|
한자 | 大母庵 木造如來坐像 |
주소 | 전라북도 |
지정(등록) 종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48호 |
지정(등록)일 | 2017년 3월 31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대모암 목조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기존 국문
이 불상은 기법으로 보아 17세기 중반에 활동했던 조각승인 희장(熙藏, 활동시기 1639~1661)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각형의 얼굴과 신체, 폭이 넓고 단순화된 평판적인 옷주름, 오른쪽 어깨의 타원형 주름, 왼쪽 팔뚝 위의 사선 새김선, 두 다리 사이의 폭 넓은 옷주름 등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희장과 불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원래 강천사 부속암자인 연대암에 있었던 이 불상은 일제강점기 말 태평양전쟁의 혼란한 시기에 이 곳 대모암 대웅전으로 옮겨 모셔지게 되었다고 한다. 한편 이 불상의 복장물로 보장목, 적법귀감 등 다양한 불교관련 서적이 발견되어 학술 연구 등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수정 국문
초고
이 불상은 17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있던 곳은 알 수 없으나 일제강점기 말에 대모암(大母庵)으로 옮겨 왔고 1993년 새로 지은 대웅전에서 모시고 있다.
사각형의 얼굴과 신체, 폭이 넓고 단순화된 평판적인 옷주름을 비롯하여 착의법과 수인 등 형식 및 양식 특징 등에서 17세기 조각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이 시기 활동한 대표적인 조각승인 희장(熙藏) 작품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어, 희장 또는 희장파 불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1차 수정
17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여래상이다. 여래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덕성을 표현하는 열 가지 이름 중 하나이다.
원래 강천사의 부속암자인 연대암에 있던 불상이라고 전해진다. 일제강점기 말에 대모암으로 옮겨 왔고 1993년에 새로 지은 대웅전에서 모시고 있다.
17세기에 활동했던 승려조각가 희장(熙藏)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사각형의 얼굴과 신체, 오른쪽 어깨의 타원형 주름, 두 다리 사이의 폭이 넓고 단순화된 옷주름 등은 희장 작품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 송은석, 「조선후기 17세기 조각승 희장과 희장파의 조상(造像)」, 태동고전연구 22,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6.
- 대모암 목조여래좌상(大母庵 木造如來坐像),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3502480000
- 대모암,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