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척화비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16일 (목) 12:05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창녕척화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2180000 창녕 척화비], 국가문...)
창녕 척화비 0 |
|
대표명칭 | 창녕 척화비 |
---|---|
영문명칭 | 0 |
한자 | 昌寧 斥和碑 |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1(만옥정공원)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18호 |
지정(등록)일 | 1995년 5월 2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창녕 척화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척화비란 쇄국정책을 실시하던 흥선대원군이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치르면서 그러한 의지를 더욱 굳혀 국민들에게 서양세력의 침략을 더욱 강력히 경고하고자 서울 및 전국 중요 도로변에 세우도록 한 비이다.
창녕 척화비는 만옥정 공원 안에 자리하고 있으며 고종 3년(1866)에 짓고 고종 8년(1871)에 세워졌다. 비문에는 ‘서양의 오랑캐가 침입해오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자는 것이고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라고 하여 강력한 쇄국 의지가 담겨져 있다.
고종 19년(1882) 임오군란 때 흥선대원군이 청나라로 납치되자 일본공사가 요구하여 척화비 대부분이 철거되었으며 현재는 창녕을 비롯하여 서울, 부산, 함안, 대구 등지에 실물이 남아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척화비는 쇄국정책을 실시하던 흥선대원군이 서양세력의 침략을 경고하는 내용을 새겨 전국 주요 도로변에 세운 것이다. 1882년 임오군란 때 흥선대원군이 청나라로 납치된 후 일본 공사의 요구로 대부분이 철거되고 일부만 실물이 남아있다.
이 비석은 1866년에 비문을 짓고 1871년에 세워졌다.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받침돌과 머릿돌은 없다.
비문에는 ‘서양의 오랑캐가 침입해오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자는 것이고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라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현재 만옥정 공원 안에 자리하고 있는데, ‘和’ 한 글자가 땅 속에 묻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