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천 신도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0월 19일 (금) 23:24 판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운천 신도비 |영문명칭= |한자=雲川 神道碑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지리 294-1 |소장처= |...)
운천 신도비 |
|
대표명칭 | 운천 신도비 |
---|---|
한자 | 雲川 神道碑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지리 294-1 |
지정(등록) 종목 | 문화재자료 제60호 |
지정(등록)일 | 1985년 8월 5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해설문
국문
이 비는 조선 선조 때의 문신 김용(金涌, 1557~1620)의 신도비이다. 김용은 의성김씨로 34세 때 문과에 급제하고 예문관 검열, 예문관 정언, 예문관 지평을 거쳤으며 편수관(編修官)으로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안동수성장(安東守城將)을 지냈고, 선조가 의주로 피난 갈 때 호종(扈從)하였는데 이때의 전황을 일기형식으로 기록한 문서인 운천호종일기(雲川扈從日記), 보물 제484호를 남겼다.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역임하고 훗날 자헌대부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증직되었으며, 임호서원(臨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이 비는 고종 29년1892에 세워졌으며 총 높이 180cm, 가로 72cm, 세로 114cm의 좌대 위에 오석(烏石)의 비신(碑身)을 세웠으며, 화강석으로 된 용모양 비머리[螭首]의 높이는 64cm이다. 비문은 이재 권연하(頤齋 權璉夏)가 짓고 김한락(金翰洛)이 썼다. 이 비는 임하댐 건설로 인하여 1989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