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효동 정려비각

HeritageWiki
Narasunny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12월 27일 (금) 14:0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충효동 정려비각
Commemorative Pavilion of Chunghyo-dong
"충효동 정려비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충효동 정려비각
영문명칭 Commemorative Pavilion of Chunghyo-dong
한자 忠孝洞 旌閭碑閣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7
지정(등록) 종목 시도기념물 제4호
지정(등록)일 1985년 2월 25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일곽
웹사이트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설문

국문

옛날에 충용장군(忠勇将軍) 김덕령(金德齡) 공이 초야(草野)에서 일어나 의병을 일으켜 흉악한 왜적을 막아냈다. 위엄과 명성이 일본에까지 진동하였으나 불행하게도 뜻밖의 화(禍)를 당하여 죽었다. 그의 형 덕홍(德弘)도 금산(錦山) 선두에서 먼저 죽었고, 부인 이씨(李氏)도 왜적을 만나 절개를 지키며 죽었다.

충(忠)과 열(烈)이 한 집안에 모였는데도 억울한 원한이 풀리지 못하고, 아름다운 빛이 나타나지 못하니 군자(君子)들이 슬피 여겼다. 현종 임금께서 비로소 공의 원통함을 씻어주고 병조참의(兵曺參議)를 추증하였으며, 숙종 임금께서는 병조판서(兵曹判書) 가증(加增)하고 의열(義烈)이라는 사액(祠額)을 내려 주셨다.

지금 임금 무신(戊申 정조 12년, 1788년)에는 또 좌찬성(左贊虞)을 가증(加赠)하고 충장(忠壯)이라는 시호를 내려 주었으며, 이씨(李氏)에게는 정경부인(貞敬夫人)을 추증하고, 덕홍(德弘)에게도 지평(持平)을 추증하였다.

이어 공의 고향 마을을 충효리(忠学里)라 이름지어주고. 비석을 세워 표시하기 위하여, 신(臣) 서유린(徐有磷)더러 그 뒷면을 기록하라고 명하였다. 신(臣)이 명을 받고 송구스러워하며 물러나와 생각해보았다.

국가에 일이 있게 되면, 하늘은 반드시 난국을 건질만한 인재를 낳아서 대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기와 질투에 걸리지 않고 성공한 사람은 적다. 더구나 공처럼 불행한 분은 더욱 그러하다. 세상에서 공을 원통하게 여기는 이들은 항상 공을 악무목(岳武穆:송나라의 충신 악비(岳飛)와 비교하지만, 무목(武穆)은 언성(郾城)대첩이라도 있었다. 하지만 공은 의병을 일으킨 초기부터 이미 권력자들의 방해를 받아, 뜻을 품은 채 무기를 준비하였으나 백에 하나도 써보지 못하였다. 그러다 마침내 터무니없는 트집으로 죽고 말았으니 공을 무목(武穆)처럼 죽게만 하였어도 다행일 것이다. 아! 하늘이 공을 낳은 것이 지시(志士)들에게 분통만을 남겨주자는 것이였는가? 그러나 여러 임금께서 원통함을 씻어 표창해 주어 거의 유감이 없게 하였으니, 시호(諡號)나 정표(旌表)가 모두 특볕한 은혜에서 나왔다. 충신이 훌륭한 대우를 받는 것이 어찌 생사(生死)에 따른 차이가 있겠는가? 공의 아우 덕보(德普)에게도 지행(志行)으로 집의(執義)를 추증하여, 세 형제를 의열사(義烈祠)에 함께 모시게 했다. 국가의 위로가 김씨(金氏)에게만 치우친 듯 하나 이는 오직 충용(忠勇)이 있기 때문이다.

이제 성군(聖君)의 덕화(德化)가 널리 나타나 숨겨진 일들이 모조리 밝혀져, 억울함이 벗겨진 것 중에서도 공은 실로 으뜸을 차지한다. 크고 두꺼운 비석에 대서특필하니 단청(丹靑)처럼 빛나고 한 때에 굽혀졌던 일이 백세(百世)까지 퍼지게 되었으니, 공에게 무슨 슬픔이 있겠는가? 그렇다면 하늘이 공을 낳은 것은 이 우주에 충용(忠勇)을 불러일으키려 한 것이니, 어찌 공의 가문에만 영광이겠는가?

충(忠)은 반드시 효(孝)에서 근본하나니, 공이 집에서 효도한 것이 바로 나라에 충성하게 된 것이다. 더구나 형이 앞에 죽고 아내가 뒤에 죽어 한 집안의 충렬(忠烈)이 진실로 한 나라의 중히 여긴 바가 되었으니, 이것도 효도에서 나온 것이다. 마을의 정표(旌表)를 충렬(忠烈)이라 하지 않고 충효(忠孝)라고 한 것은 임금의 뜻이 이와 같았기 때문이다. 훗날 이 정려(旌閭)에 경의를 표하고 이 비석을 읽는 사람들은 어찌 먼저 효도에 힘쓰지 아니할 것인가? 삼가 써서 후세에 알리노라.

1789년(정조13년) 삼월

영문

Commemorative Pavilion of Chunghyo-dong

This commemorative pavilion was built for Kim Deok-ryeong (1567-1596), a leader of a civilian 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1592-1598), his wife Lady Yi, and his brothers Deok-hong (1558-1592) and Deok-bo (1571-1627).

After Deok-hong was killed in a battle against the Japanese in 1592, Deok-ryeong mobilized a civilian army to prevent a Japanese advance to the Jeolla-do area. He defeated the Japanese army in Geojedo Island in 1594 and the Goseong area in 1595. However, he was falsely accused of being involved in the rebellion in 1596 and died from harsh torture in jail. In 1661, his honor was posthumously reinstated and, in 1678, he was enshrined in Byeokjinseowon Confucian Academy in Gwangju.

Deok-ryeong’s wife, Lady Yi, is also honored for sacrificing her life to protect her chastity when she was chased by the Japanese army in 1597.

Deok-bo, the youngest of the Kim brothers, was also a member of the local civilian army during the war. However, after losing his two brothers, he returned to his hometown of Gwangju and continued his family lineage. Even after the war ended, he refused to serve official posts and lived in retirement.

In 1785, King Jeongjo (r. 1776-1800) bestowed Kim Deok-ryeong with the posthumous title of Chungjang (忠將), meaning “Loyal Commander,” in recognition of his loyalty. In 1788, the king also renamed the Kim family’s hometown as "Chunghyo-dong," meaning “a village of loyalty and filial piety,” to honor their faithfulness and filial devotion. By a royal order, a commemorative stele was erected in the following year, and the pavilion housing the stele was first built in 1792.

Besides this commemorative pavilion, the city of Gwangju also has various cultural heritages related to Kim Deok-ryeong, such as Chungjangsa Shrine, Chwigajeong Pavilion, and his tomb.

영문 해설 내용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김덕령(1567-1596)과 그의 처 이씨, 형 덕홍(1558-1592)과 아우 덕보(1571-1627) 등 일가족의 충효와 절개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와 비각이다.

김덕령은 형 덕홍이 1592년 일본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자, 의병을 모집하여 일본군의 전라도 진출을 막기 위해 싸웠다. 1594년과 1595년에는 각각 거제도와 고성 지역의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그러나 1596년에 일어난 반란에 연루되었다는 모함을 받았고, 혹독한 고문으로 옥사했다. 1661년 신원되었고, 1678년 광주 벽진서원에 제향되었다.

김덕령의 부인 이씨는 정유재란 때 일본군의 추격을 받고 순절하였다.

김덕보는 두 형을 잃은 뒤 고향으로 돌아가 난을 피하여 겨우 가계를 보존했다.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하였다.

1785년 정조는 김덕령의 충의를 칭송하며 충장공(忠將公)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1788년에는 김덕령과 그 일가의 충성과 효성을 기념하기 위해 “충과 효의 마을”이라는 뜻의 마을 이름을 지어 하사했다. 왕명에 따라 이듬해 비석이 세워졌고, 비각은 1792년에 처음 세워졌다.

이 정려비각 외에도 광주에는 김덕령의 묘, 김덕령을 모신 사당인 충장사, 김덕령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취가정 등 김덕령과 관련 있는 다양한 문화유산이 있다.


Semantic Network Visualization


Identified Individuals

id class label infoUrl iconUrl
J24-0004-0000 문화유산 광주광역시_시도기념물_제4호
충효동_정려비각 문화유산 충효동정려비각(忠孝洞旌閭碑閣,1792)
김덕령 인물 김덕령(金德齡,1567-1596)
김덕홍 인물 김덕홍(德弘,1558-1592)
흥양이씨 개념 흥양이씨(興陽李氏)
현종 인물 현종(顯宗,1641-1674)
참의 개념 참의(參議,1405-1894)
판서 개념 판서(判書)
정조 인물 정조(正祖,1752-1800)
좌찬성 개념 좌찬성(左贊虞,1437-1895)
김덕보 인물 김덕보(金德普, 1571-1627)
광주_충효동 장소 광주_충효동(光州忠孝洞)
충장사 문화유산 충장사(忠壯祠,1841)
취가정 문화유산 취가정(醉歌亭,1890)

RDF Tripples

source target relation
충효동_정려비각 J24-0004-0000 ekc:isDesignatedAs
김덕령 충효동_정려비각 ekc:isEnshrinedIn
김덕홍 충효동_정려비각 ekc:isEnshrinedIn
김덕홍 금산전투 ekcx:wasKilledAt
흥양이씨 충효동_정려비각 ekc:isEnshrinedIn
현종 참의 edm:isRelatedTo
현종 판서 edm:isRelatedTo
참의 김덕령 edm:isRelatedTo
현종 김덕령 edm:isRelatedTo
숙종 판서 edm:isRelatedTo
판서 김덕령 edm:isRelatedTo
병조 참의 edm:isRelatedTo
병조 판서 edm:isRelatedTo
정조 좌찬성 edm:isRelatedTo
좌찬성 김덕령 edm:isRelatedTo
정조 정경부인 edm:isRelatedTo
흥양이씨 정경부인 edm:isRelatedTo
정조 흥양이씨 edm:isRelatedTo
정조 김덕홍 edm:isRelatedTo
김덕홍 지평 edm:isRelatedTo
정조 지평 edm:isRelatedTo
정조 충효리 ekcx:renamed
정조 서유린 ekc:hasSubject
정조 정려비각 ekc:founder
서유린 정려비각 ekc:writer
김덕보 충효동_정려비각 ekc:isEnshrinedIn
광주_충효동 취가정 edm:currentLocation
광주_충효동 충장사 edm:currentLocation
광주_충효동 충효동_정려비각 edm:currentLocation
충장사 김덕령 ekc:commemorates
취가정 김덕령 ekc:commemorates

Spatial Data

gId type label id hanja latitude longitude address
충효동_정려비각 유적지 충효동_정려비각 충효동_정려비각 忠孝洞旌閭碑閣 35.1846916 126.9990806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7

Timeline Data

sid type indexYear label id hanja solarDate lunarDate timeType
1792-충효동_정려비각-건립 문화유산 1792 충효동정려비각_忠孝洞旌閭碑閣_1792_건립 충효동_정려비각 忠孝洞 旌閭碑閣 1792 year
1567-김덕령-태어남 인물 1567 김덕령_金德齡_1567_태어남 김덕령 金德齡 1567-1596 year
1592.08-금산전투-일어남 사건 1592.08 금산전투_錦山戰鬪_1592.08_일어남 금산전투 錦山戰鬪 1592.08 date
1558-김덕홍-태어남 인물 1558 김덕홍_德弘_1558_태어남 김덕홍 德弘 1558-1592 year
1641-현종-태어남 인물 1641 현종_顯宗_1641_태어남 현종 顯宗 1641-1674 year
1405-병조참의-시행 개념 1405 병조참의_兵曺參議_1405_시행 병조참의 兵曺參議 1405-1894 year
1661-숙종-태어남 인물 1661 숙종_肅宗_1661_태어남 숙종 肅宗 1661-1720 year
1752-정조-태어남 인물 1752 정조_正祖_1752_태어남 정조 正祖 1752-1800 year
1437-좌찬성-시행 개념 1437 좌찬성_左贊虞_1437_시행 좌찬성 左贊虞 1437-1895 year
1401-지평-시행 개념 1401 지평_持平_1401_시행 지평 持平 1401 year
1738-서유린-태어남 인물 1738 서유린_徐有磷_1738_태어남 서유린 徐有磷 1738-1802 year
1571-김덕보-태어남 인물 1571 김덕보_金德普_1571_태어남 김덕보 金德普 1571-1627 year
1841-충장사-건립 문화유산 1841 충장사_忠壯祠_1841_건립 충장사 忠壯祠 1841 year
1890-취가정-건립 문화유산 1890 취가정_醉歌亭_1890_창건 취가정 醉歌亭 1890 year

English Terms

termSource korTerm chiTerm engTerm definition




참고자료

김덕령 정려와 관련한 실록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