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청평사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12월 22일 (일) 09:16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청평사지 |영문명칭=Cheongpyeongsa Temple Site |한자=淸平寺址 |주소=강원도 춘천시 북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평사지
Cheongpyeongsa Temple Site
대표명칭 청평사지
영문명칭 Cheongpyeongsa Temple Site
한자 淸平寺址
주소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669번지 외 2필지
지정(등록) 종목 시도기념물 제55호
지정(등록)일 1984년 12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수량/면적 일원(43,098㎡)
웹사이트 청평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청평사는 973년(고려 광종 24)에 당나라 승려 영현선사(永玄禪師)가 창건하여 ‘백암선원’이라 부르던 사찰이다. 한 때 폐사 되었다가 1068년(고려 문종 22)에 이의가 중건하고 보현원이라 하였으며, 1089년(고려 선종 6) 이의의 아들인 이자현이 벼슬을 버리고 이 곳에 은거하여 수행하며 절 이름을 문수원으로 고쳤다. 이후 조선 명종 때 보우선사(普雨禪師) 절을 크게 중건하고 이름을 청평사로 변경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절 주변의 자연 지형을 이용해 고려시대의 독특한 정원 양식을 만들어냈다. 영지(影池), 기암괴석, 폭포 등이 어우러진 경승지로 이제현, 김시습, 이황 등 많은 시인 묵객들이 찾아 머물며 글을 남기기도 했다.

국보 극락전과 고려 최고의 명필가인 탄연의 글씨체로 유명한 문수원기비가 한국전쟁으로 인해 소실되었으나 1975년과 2008년에 각각 복원되었다. 그 외 남아 있는 유물로는 회전문(보물 제164호), 삼층석탑, 진락공 부도, 환숙당 부도 등이 있다.

  • 사찰이 다시 지어졌기 때문에 청평사지라는 명칭이 맞지 않음.
  • 극락전은 국보로 지정된 적이 없는 것으로 보임.

영문

Cheongpyeongsa Temple Site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고려시대인 973년에 백암선원이라는 이름의 사찰이 창건되었던 곳이다. 그 뒤 폐사되었다가 1068년 고려의 문신이었던 이의가 중건하였고, 1089년에는 이의의 아들이자 고려 중기의 학자였던 이자현(1061-1125)이 관직을 버리고 이곳에 은거하며 수행하였다. 이후 조선시대인 16세기 중반에 보우선사가 절을 크게 중건하고 이름을 청평사라 하였다.

청평사 인근에는 이자현이 사찰을 중건하면서 조성한 고려시대 양식의 정원(명승 제70호)이 있다. 연못, 기암괴석, 폭포 등이 어우러진 경승지로, 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찾아와 글을 남기기도 하였다.

16세기 중건 당시에 지어진 건물은 회전문(보물 제164호)이 유일하게 남아 있다. 극락전을 비롯한 다른 전각들은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고,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전각들이 다시 지어졌다. 그 외에 고려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삼층석탑(문화재자료 제8호)과 조선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승탑 2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