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고달사지
여주 고달사지 Godalsa Temple Site, Yeoju |
|
대표명칭 | 여주 고달사지 |
---|---|
영문명칭 | Godalsa Temple Site, Yeoju |
한자 | 驪州 高達寺址 |
주소 |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1-1번지 외 |
지정(등록) 종목 | 사적 제382호 |
지정(등록)일 | 1993년 7월 23일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
시대 | 통일신라 |
수량/면적 | 60,033㎡ |
웹사이트 | 여주 고달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고달사지는 혜목산우두산 기슭에 있는 절터로 신라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이곳은 신라 말기 대표적인 선승이었던 원감국사 현욱(玄昱), 진경대사 심희(審希)를 비롯하여 고려 시대의 원종대사 찬유(璨幽) 등 당시 불교계를 선도했던 유력한 승려들이 머무르면서 중심적인 사찰이 되었다. 특히 고려 광종 때에는 왕실과 중앙 정부의 후원을 받아 3대 선원 중에 하나로 위상이 높았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발굴 조사 결과 고달사는 조선 시대에 서서히 쇠락하다가 임진왜란 직후에 폐하여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이곳에는 국보 제4호 고달사지 승탑을 비롯하여 보물로 지정된 원종대사탑과 탑비, 석조대좌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석조 유물들이 남아 있다. 그리고 고달사에 세워졌던 석등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으며, 원종대사 탑비의 비신은 여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전시하고 있다. 이들은 고려 시대를 대표하는 우수한 기법의 석조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고달사에서 멀지 않은 혜목산 기슭에는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본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의 저자 백운화상 경한(景閑)이 머물렀던 ‘취암사(鷲巖寺)’가 있었다고 한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고달사지에 남아있는 석조 문화재의 성격, 취암사의 정확한 위치와 역사 등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 선승 : 선종의 승려
- 선원 : 선종에 속한 절.
- 비신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고달사는 통일신라시대인 764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진다.
원감국사(788-869), 진경대사(855-923), 원종대사(869-958) 등 선종을 대표하던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고려 때인 10세기에는 왕실의 후원을 받아 선종의 3대 사찰로 번창하기도 했다. 고달사는 17세기경 폐사한 것으로 보인다.
1998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통일신라 후기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건물터 28동, 담장지 4기, 탑지 2기, 축대 9기 등의 유구들이 확인되었다. 또 명문이 새겨진 기와와 다양한 도기 등의 유물도 발굴되었다.
특히 이곳에는 승탑(국보 제4호)을 비롯하여 원종대사의 탑(보물 제7호)과 탑비(보물 제6호), 석조대좌(보물 제8호) 등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우수한 기법의 석조 유물들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