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승당 유허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12월 1일 (일) 04:53 판 (영문 해설 내용)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제승당 유허비 制勝堂 遺墟碑
Goto.png 종합안내판: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해설문

국문

제승당 유허비는 제승당을 다시 세운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제승당은 임진왜란 때 당시 전라좌도수군절도사였던 이순신(李舜臣)이 작전지휘본부로 사용한 운주당이 있던 곳이다. 운주당은 1597년 정유재란 때 불에 타 없어졌는데, 제승당은 1739년 통제사 조경(趙儆)이 다시 지은 것이다.

3개의 비석 중 왼쪽 비석은 1739년에 제107대 통제사 조경이 세운 것이다. 오른쪽 비석은 그곳이 전에 있던 비석을 묻은 곳임을 알리는 표지석이다. 이 비석은 이순신의 후손이자 제198대 통제사를 지낸 이규석(李奎奭)이 세웠다. 가운데 비석은 오른쪽 비석의 뒷면을 한글로 풀어 새겨 놓은 것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왼쪽 비석은 1739년 삼도수군통제사로 부임한 조경(1677-1743)이 제승당을 지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웠다. 원래 이곳에는 임진왜란 당시 삼도수군통제사였던 이순신이 지휘본부로 사용한 운주당이 있던 곳이다. 운주당은 1597년 불에 타 없어졌고, 조경이 이순신을 기념하기 위해 제승당을 다시 지었다.

오른쪽 비석은 이순신의 10대손이자 통제사였던 이규석이 1877년에 세운 것이다. 이규석은 원래 있던 유허비를 땅에 묻고 새 비석을 세웠다.

가운데 비석은 1979년에 세워진 것으로, 오른쪽 비석의 뒷면에 새겨진 비문을 한글로 번역해서 새겨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