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진주 옥봉고분군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2월 9일 (수) 19:18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진주옥봉고분군.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800010000 진주 옥봉고분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옥봉 고분군
진주 옥봉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주 옥봉 고분군
한자 晋州 玉峰 古墳群
주소 경남 진주시 옥봉동 산546번지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호
지정일 1974년 2월 16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수량/면적 97㎡
웹사이트 진주 옥봉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진주 옥봉고분군은 진주시가지 동편에 있는 수정봉과 옥봉에 있는 가야시대 이 지역을 지배하던 지배세력의 무덤이다.

기록에 의하면 수정봉과 옥봉의 정상부와 능선을 따라 7기의 큰 무덤이 있었는데 지금은 도시화로 3개의 무덤만 흔적이 남아있다. 3개의 무덤 중에서 옥봉에 있는 1개의 무덤만이 경상남도 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7개의 가야시대 무덤은 1910년경 일본인 세끼노[關野貞]에 의해 도굴에 가까운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후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에 기록으로 남아 있다.

여기에서 출토된 유물의 대부분은 일본 동경대학(東京大學)에 보관되어 있다. 출토된 유물은 철제 말갖춤과 각종 토기류 등인데 유물의 규모와 종류 등을 통하여 가야시대 진주지역을 지배하던 지배충의 세력과 규모를 짐작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옥봉 고분군은 6세기 전반에 조성된 가야의 무덤이다.

기록에 의하면 옥봉 정상부에서 시작된 능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7기의 큰 무덤이 있었다고 하며, 이 중 3기의 무덤이 1910년대에 일본인 학자에 의해 발굴되었다.

지금은 도시 개발 등으로 인해 2기만 남아있으며, 이 중 옥봉에 있는 무덤 1기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2007년 실시한 발굴조사 결과, 이 무덤은 석곽묘 형태로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9점의 토기류가 출토되었다. 무덤의 주인은 이 일대의 지배 세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910년에 일본인 학자에 의해 발굴된 수정봉에 있는 무덤 2기와 옥봉에 있었던 무덤 1기 역시 이 지역 지배층의 것으로 보인다. 석실묘 형태로 축조되었으며, 철제 마구, 각종 토기류, 가락바퀴, 구슬류, 무기류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 대부분은 일본 동경대학에 보관되어 있다.

참고 자료

  • 진주 옥봉 고분군, 진주 관광 https://www.jinju.go.kr/02793/02258/02284.web?amode=view&idx=413 -> 원래 대형의 봉토분 7기가 분포되어 있던 이 고분군 일대는 일제시대 이래 고분의 파괴와 함께 개간이 진행되어 지금은 단 2기의 고분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가야 자료 총서 4권 - 가야 발굴조사 자료편 Ⅱ,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8, pp.396-397 -> 발굴조사 간략 정보 ; 2007년 진주 옥봉 금산공원 옆 도시계획도로 개설로 인해 동서문물연구원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삼국시대 수혈식석곽묘 1기가 확인되었고, 출토된 유물은 토기류 9점이다. 석곽묘는 등고선과 평행하게 조영되었고 장축방향은 동-서향이며 규모는 376㎝×105㎝×38㎝로 세장방형이다. 최하단석 축조에 있어 3벽은 점판암계 판석을 사용하여 수적하였고, 서단벽은 할석으로 평적하였다. 장벽의 최하단석은 기초 홈을 파서 수적한 후 그 위로 2단 이상을 평적하여 조성하였다. 출토유물은 동단벽쪽에서 소가야계의 대부완, 파배가 각각 1점씩 출토되었으며, 서단벽쪽에서 대가야계의 개배 6세트와 방추차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소가야계와 대가야계 유물 양상으로 석곽묘의 조성 시기는 6세기 중반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 가야 자료 총서 2권 - 가야 일제강점기 자료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8, pp.77-84 -> 1910년 발굴조사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