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김씨 학봉종택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24일 (목) 08:1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성김씨 학봉종택
의성김씨 학봉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의성김씨 학봉종택
한자 義城金氏 鶴峰宗宅
주소 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856번지
지정번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112호
지정일 1995년 12월 1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3,458㎡
웹사이트 의성김씨 학봉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학봉 종택은 조선 중기 때 문신이었던 학봉 김성일(鶴峯 金誠一, 1538~1593)과 그 종손들이 살던 집이다.

김성일은 이황(李滉)의 수제자로 경상도 지역 유림의 중추 역할을 하였다. 1590년 사신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이 침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하여 임진왜란 초에 파직되기도 하였으나 곧 사면되고 다시 경상도 초유사*에 임명되었다. 경상도 지역에서 의병을 모으고 군량미 확보에 힘썼으며, 곽재우 등 의병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진주대첩 승리(1592)의 기반을 만들었다. 그러나 1593년 진주성에서 계속 항전 중에 병사했다.

원래 의성김씨 종가가 있는 안동 천전리에 살았는데, 1582년 7월 처가가 있던 이곳 금계로 분가하였다. 학봉 종택은 원래 지금의 자리에 있었으나, 지대가 낮아 침수 피해가 잦았기 때문에 1762년 150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옮겼다. 1964년 종택을 다시 원래 자리로 옮기면서 안채만 옮기고 사랑채는 남겨 두어 소계서당으로 쓰도록 하였다.

학봉 종택은 사랑채와 안채로 이루어진 정침**, 사당, 별채인 풍뢰헌, 유물관인 운장각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년에 유물을 전시하고 보관하려고 지은 운장각에는 김성일이 사용했던 안경, 칼, 벼루 등의 유품과 고서 및 고문서 등이 있다.


  • 초유사(招諭使) : 난리가 일어났을 때, 백성을 타일러 경계하는 일을 맡아 하던 임시 벼슬.
  • 정침(正寢): 주택의 중심이 되는 집 또는 방.

영문

영문 해설 내용

학봉종택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봉 김성일(鶴峯 金誠一, 1538~1593)과 그 종손들이 거주해온 곳이다.

김성일은 이황(李滉, 1502~1570)의 수제자로 경상도 지역 유림의 중추 역할을 하였다. 1590년 사신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이 전쟁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했으나, 2년 후 일본은 조선을 침략하였다. 전쟁이 일어나자 김성일은 자신의 과오를 씻기 위해 경상도 지역에서 의병을 모으고 군량미를 확보하는 등 침략군과의 전쟁에 투신하였으며, 진주성에서 항전하다가 병으로 죽었다.

김성일은 원래 의성김씨 종가가 있는 안동 천전리에 살았는데, 1582년 7월 처가가 있던 이곳 금계로 분가하였다. 학봉종택은 원래 지금의 자리에 있었으나, 지대가 낮아 침수피해가 잦았기 때문에 1762년 150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옮겼다. 1964년 종택을 다시 원래 자리로 옮기면서 안채만 옮기고 사랑채는 남겨 두어 서당으로 쓰도록 하였다.

학봉종택은 사랑채와 안채로 이루어진 정침, 사당, 별채인 풍뢰헌, 유물관인 운장각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당에는 김성일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원래 유교식 제사에서는 고조부까지 4대에 이르는 조상들의 제사를 받들게 되어있는데, 나라에 큰 공로가 있거나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의 경우에는 4대가 지나더라도 신주를 영원히 사당에 모시는 것이 허락되었다. 운장각에는 김성일이 사용했던 안경, 칼, 벼루 등의 유품과 고서 및 고문서 등이 보관되어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