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강릉 칠사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7번째 줄: 37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칠사당은 조선시대 강릉대도호부 수령의 집무처이다. 이 건물의 최초 건립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632년에 중건하고, 1726년에 확장‧중수하였으며, 이후 1867년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다시 지었다. 칠사당이라는 이름은 수령이 행해야 할 주요 업무인 “칠사”에서 유래되었고, 칠사는 농사, 호구, 교육 병무, 세금, 재판, 풍속을 가리킨다.
  
 
+
건물의 평면 형태는 ㄱ자 모양이고, 규모는 전면 7칸, 측면 3칸이다. 전면 왼쪽에 누마루를 설치하고, 뒷면에는 1칸을 내달아‘┍┙’형태의 특이한 평면을 보인다. 왼쪽에서부터 누마루, 마루방, 대청마루, 온돌방이 있고, 방 앞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마루방 툇마루 앞에는 대청마루보다 높은 작은 마루를 돌출되게 덧달았는데, 이는 대청에서 누마루로 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대청마루, 누마루 등 마루의 높이를 달리하여 공간의 변화와 위계를 주었으며, 지붕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에 설치한 공포 형식에서 품격 높은 조형미를 볼 수 있어 역사·예술적 가치가 높다. 공포 사이에 설치된 화반은 물고기 모양으로 새겼는데, 이는 해안 지역 건축물의 특징이다.
  
  

2024년 5월 25일 (토) 15:46 판


강릉 칠사당
강릉 칠사당,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강릉 칠사당
한자 江陵 七事堂
지정번호 보물
지정일 2021년 12월 27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강릉 칠사당,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강릉 칠사당」은 강릉대도호부 관아 구역 안에 있는 조선시대 수령의 집무처이다. ‘칠사당’이라는 명칭은 수령이 행해야 할 주요 업무인 칠사(七事: 농사, 호구, 교육 병무, 세금, 재판, 풍속)에서 유래하였다.

최초 건립 시기는 확실치 않으나, 1632년(인조 10년)에 중건하고, 1726년(영조 2)에 확장‧중수하였으며, 이후 1867년(고종 4년)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다시 지었다.

건물의 평면 형태는 ㄱ자 모양이고, 규모는 전면 7칸, 측면 3칸이다. 전면 왼쪽에 누마루를 설치하고, 뒷면에는 1칸을 내달아‘┍┙’형태의 특이한 평면을 보인다.

중앙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온돌방과 마루방, 누마루를 배치하였고, 툇마루 앞에 대청마루보다 높은 작은 돌출 난간마루를 덧달아 대청에서 누마루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였다. 대청 천장은 우물과 연등 모양이며, 벽체는 회벽으로 마감하였다.

대청마루, 누마루 등 마루의 높이를 달리하여 공간의 변화와 위계를 주었으며, 해안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물고기 모양의 화반, 삼익공의 공포 형식 등 품격 높은 조형미를 지녀 역사·예술적 가치가 높은 건축물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칠사당은 조선시대 강릉대도호부 수령의 집무처이다. 이 건물의 최초 건립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632년에 중건하고, 1726년에 확장‧중수하였으며, 이후 1867년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다시 지었다. 칠사당이라는 이름은 수령이 행해야 할 주요 업무인 “칠사”에서 유래되었고, 칠사는 농사, 호구, 교육 병무, 세금, 재판, 풍속을 가리킨다.

건물의 평면 형태는 ㄱ자 모양이고, 규모는 전면 7칸, 측면 3칸이다. 전면 왼쪽에 누마루를 설치하고, 뒷면에는 1칸을 내달아‘┍┙’형태의 특이한 평면을 보인다. 왼쪽에서부터 누마루, 마루방, 대청마루, 온돌방이 있고, 방 앞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마루방 툇마루 앞에는 대청마루보다 높은 작은 마루를 돌출되게 덧달았는데, 이는 대청에서 누마루로 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대청마루, 누마루 등 마루의 높이를 달리하여 공간의 변화와 위계를 주었으며, 지붕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에 설치한 공포 형식에서 품격 높은 조형미를 볼 수 있어 역사·예술적 가치가 높다. 공포 사이에 설치된 화반은 물고기 모양으로 새겼는데, 이는 해안 지역 건축물의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