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제주 관덕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제주관덕정.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903220000 제주 관덕정], 국가문...)
 
(참고자료)
39번째 줄: 39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 『관덕정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7.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1672&bbsId=BBSMSTR_1021&mn=NS_03_08_01
 
+
* “제주목 관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903800000
 +
* “제주 관덕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903220000
 +
* “제주목 관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1430
 +
* “제주 관덕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4770
 +
* “제주목 관아”, 디지털제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ks.ai/GC00701989
 +
* “제주 관덕정”, 디지털제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ks.ai/GC00700212
 +
* “[한국의 고택] 제주 관덕정과 제주목 관아”, 문화유산신문. http://kchn.kr/heritage/?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840677&t=board&category=7H2C3k75v8
 +
* “[다시! 제주문화] (45)"관덕정은 지켜봤다" 제주의 600년 역사를”, 연합뉴스, 2022.10.09. https://www.yna.co.kr/view/AKR20221007154600056
 +
* 국립제주박물관, “제주목관아”,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i99NG0hhge0
 +
* KBS제주, “고고 제주찾기! [제주목관아] KBS 제주 201215방송”,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NVDyIxoSBoQ
 +
* KBS제주, “고고 제주 찾기! [제주목 관아2] KBS 제주 210105방송”,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m43-0WqyaVM
 +
* KBS제주, “고고 제주찾기! [제주에서 가장 유서 깊은 건물, 관덕정] KBS제주 210112방송”,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jqKNtuqmG2M
  
  

2024년 5월 12일 (일) 14:53 판


제주 관덕정
Gwandeokjeong Hall, Jeju
제주 관덕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제주 관덕정
영문명칭 Gwandeokjeong Hall, Jeju
한자 濟州 觀德亭
주소 제주 제주시 관덕로 19 (삼도이동)
지정번호 보물 제322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제주 관덕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기존 국문

관덕정은 조선 세종 때인 1448년 안무사 신숙청이 병사들을 훈련 시키기 위해 세운 제주도의 대표적 건물로서, 제주도 관아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건립 이후 그 원형을 유지하며 여러 차례 수리되어오던 중 일제강점기인 1924년 일본인이 수리하면서 지붕처마가 2척 정도 잘려 변형되었으나 2006년 보수를 통해 원래의 모습을 다시 찾았다.

‘관덕’이란 명칭은 ‘활을 쏘는 것은 높고 훌륭한 덕을 쌓는 것이다.(射者所以 觀感德也)’라는 예기(禮記)의 내용에서 따온 것이다. 이는 ‘평소에 마음을 바르게 하고 훌륭한 덕을 쌓는다.’는 뜻이며 문무(文武)의 올바른 정신을 본받기 위해 지어진 이름이다.

수정 국문

초고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