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침수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침수정 |영문명칭=Chimsujeong Pavilion |한자=枕漱亭 |주소=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우봉...)
(차이 없음)

2022년 3월 22일 (화) 09:15 판


침수정
Chimsujeong Pavilion
대표명칭 침수정
영문명칭 Chimsujeong Pavilion
한자 枕漱亭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우봉리 313-1
지정번호 향토문화유산 제36호
지정일 2008년 01월 09일
제작시기 1885년



해설문

국문

침수정은 17세기에 활약했던 미수 허목, 윤선도의 문인이었던 홍경고(洪景古, 1645~1699)가 17세기 말에 건립하였다고 전하여지는 정자로 1885년에 중건, 2013년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정자에는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1846~1916)의 기문 등 총 37개의 현판이 걸려있어 많은 시인묵객이 찾았던 유서 깊은 정자였다. 정면 3칸 측면 3칸, 팔작지붕에 중재실이 있고 아궁이도 있는 등 호남 지역의 전형적인 정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침수정은 돌을 베게삼고 흐르는 물로 양치질하는 곳이라는 의미로서 몸과 마음을 검소하게하고 깨끗이 하여 학문에 정진하는 곳이었다고 전한다. 1950년대까지 유림묵객들이 이곳에서 학문을 논하고 삼신제를 올리는 등 널리 애용되었던 곳이었다.

뒤로는 오산사(鰲山祠, 1925년 건립)가 있는데 침수정은 오산사의 강당으로 쓰이고 있다. 오산사는 홍계호와 홍경고의 모시는 사당이다.

침수정는 우봉리 앞의 넓은 벌판과 그 벌판을 적시는 지석강을 시원하게 바라보고 있어 뛰어난 풍광이 일품이다. 또한 침수정 앞 우메기 沼의 맑은 냇물과 수령이 400년이 넘은 느티나무, 팽나무, 백일홍, 소나무와 바위들이 함께 잘 어우러져 그 운치를 더하는 곳이다.

영문

Chimsujeong Pavilion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