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이성산성 C지구 12각 건물터 (하남 이성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0번째 줄: 10번째 줄:
 
}}
 
}}
  
===기존 국문===
+
=='''해설문'''==
없음
+
===국문===
 +
C지구는 이성산성의 중심 구역으로 C 지구 건물터 등 여러 주요 건물터와 저수지가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C지구 12각 건물터의 지름은 10.78m이며 12개의 초석*을 3겹으로 놓았다. 경사진 곳에 축대를 쌓고 그 안쪽에 흙을 채워 다져서 공간을 확보한 뒤 건물을 지었다. 흙을 채운 곳이 내려앉으면서 초석이 가라앉거나 원위치에서 이동한 것이 많고 없어진 초석도 있다. 전체 초석은 원래 36개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 가운데 원위치에 있는 것이 9개, 이동하거나 넘어진 것이 18개, 없어진 것이 9개로 확인된다. 주요 유물로 격자문 기와, 고배**, 합*** 등이 있다.
  
===수정 국문===
+
----
====초고====
+
*초석: 건물의 기둥 아래 괸 돌
 +
*고배: 고대 식기의 하나로 높은 굽이 달린 접시
 +
*합: 뚜껑이 있는 그릇
  
 +
===영문===
  
====1차 수정====
 
이성산성에서는 총 11곳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성곽유적 내의 건물지이지만 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C지구에서는 장방형 건물지 1호와 2호, 12각 건물지, 부석건물지가 확인되었다.
 
  
C지구 12각 건물지는 지름 10.78m 크기이다. 12개의 초석이 원을 그리며 3겹으로 놓여있고, 가장 바깥쪽 놓인 초석과 초석 사이에는 벽체의 하단부로 추정되는 석렬이 있다. 면적이 좁기 때문에, 경사진 곳에 축대를 쌓고 그 안쪽에 흙을 채워 다져서 공간을 확보한 뒤 건물을 지었다. 흙을 채운 곳의 지반이 내려앉으면서 초석이 가라앉거나 원위치에서 이동된 것이 많고 없어진 초석도 있다. 전체 초석은 원래 36개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중 원위치에 있는 것이 9개, 이동되거나 넘어진 것이 18개, 없어진 것이 9개로 확인된다. 주요 유물로 격자문 기와, 고배, 합 등이 있다.
 
  
====자문의견====
+
===영문 해설 내용===
# 분야별 자문위원 1
+
C지구는 이성산성의 중심 구역으로 여러 건물터와 저수지 등의 유구가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이성산성에서는 총 11곳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성곽유적 내의 건물지이지만  <font color= "red"><s>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s>  소량의 무기류만 출토되는</font>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초석은 원래 36개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font color= "red"><s>이중</s> 이 중</font>  원위치에 있는 것이 9개, 이동되거나 넘어진 것이 18개, 없어진 것이 9개로 확인된다. 주요 유물로 격자문 기와, 고배, 합 등이 있다.
 
# 분야별 자문위원 2
 
#*수정사항 없음.
 
#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1) 성곽유적 내의 건물지이지만 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br/> ⇒ 성곽유적 내의  <font color= "red">건물지지만</font> 무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 가장 바깥쪽 놓인 초석과 초석 사이에는 벽체의 하단부로 추정되는 석렬이 있다. <br/> ⇒ 가장 <font color= "red">바깥쪽에</font> 놓인 초석과 초석 사이에는 벽체의 하단부로 추정되는 석렬이 있다.
 
#*3) 전체 초석은 원래 36개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중 원위치에 있는 것이 9개, 이동되거나 넘어진 것이 18개, 없어진 것이 9개로 확인된다. 주요 유물로 격자문 기와, 고배, 합 등이 있다. <br/> ⇒ 전체 초석은 원래 36개였을 것으로 <font color= "red">추정된다.</font> <font color= "red">이 가운데</font> 원위치에 있는 것이 9개, 이동되거나 넘어진 것이 18개, 없어진 것이 9개로 확인된다. 주요 유물로 격자문 기와, 고배, 합 등이 있다.
 
  
====2차 수정====
+
C지구 12각 건물터는 지름 10.78m 크기이다. 건물의 기둥을 받치는 돌(초석) 12개가 원을 그리며 3겹으로 놓여있다. 경사진 곳에 축대를 쌓고 그 안쪽에 흙을 채워 다져서 공간을 확보한 뒤 건물을 지었다. 흙을 채운 곳의 지반이 내려앉으면서 초석이 가라앉거나 원위치에서 이동된 것이 많고 없어진 초석도 있다. 전체 초석은 원래 36개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원위치에 있는 것이 9개, 이동되거나 넘어진 것이 18개, 없어진 것이 9개이다. 주요 유물로 격자문 기와, 고배, 합 등이 있다.
이성산성에서는 총 11곳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성곽유적 내의 건물지지만 소량의 무기류만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행정이나 종교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C지구에서는 장방형 건물지 1호와 2호, 12각 건물지, 부석건물지가 확인되었다.
 
 
 
C지구 12각 건물지는 지름 10.78m 크기이다. 12개의 초석이 원을 그리며 3겹으로 놓여있고, 가장 바깥쪽에 놓인 초석과 초석 사이에는 벽체의 하단부로 추정되는 석렬이 있다. 면적이 좁기 때문에, 경사진 곳에 축대를 쌓고 그 안쪽에 흙을 채워 다져서 공간을 확보한 뒤 건물을 지었다. 흙을 채운 곳의 지반이 내려앉으면서 초석이 가라앉거나 원위치에서 이동된 것이 많고 없어진 초석도 있다. 전체 초석은 원래 36개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원위치에 있는 것이 9개, 이동되거나 넘어진 것이 18개, 없어진 것이 9개로 확인된다. 주요 유물로 격자문 기와, 고배, 합 등이 있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갤러리'''==
 
  
  
60번째 줄: 37번째 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10월 27일 (수) 20:36 판

하남 이성산성 C지구 저수지 권역 12각 건물지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Goto.png 종합안내판: 하남 이성산성



해설문

국문

C지구는 이성산성의 중심 구역으로 C 지구 건물터 등 여러 주요 건물터와 저수지가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C지구 12각 건물터의 지름은 10.78m이며 12개의 초석*을 3겹으로 놓았다. 경사진 곳에 축대를 쌓고 그 안쪽에 흙을 채워 다져서 공간을 확보한 뒤 건물을 지었다. 흙을 채운 곳이 내려앉으면서 초석이 가라앉거나 원위치에서 이동한 것이 많고 없어진 초석도 있다. 전체 초석은 원래 36개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 가운데 원위치에 있는 것이 9개, 이동하거나 넘어진 것이 18개, 없어진 것이 9개로 확인된다. 주요 유물로 격자문 기와, 고배**, 합*** 등이 있다.


  • 초석: 건물의 기둥 아래 괸 돌
  • 고배: 고대 식기의 하나로 높은 굽이 달린 접시
  • 합: 뚜껑이 있는 그릇

영문

영문 해설 내용

C지구는 이성산성의 중심 구역으로 여러 건물터와 저수지 등의 유구가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C지구 12각 건물터는 지름 10.78m 크기이다. 건물의 기둥을 받치는 돌(초석) 12개가 원을 그리며 3겹으로 놓여있다. 경사진 곳에 축대를 쌓고 그 안쪽에 흙을 채워 다져서 공간을 확보한 뒤 건물을 지었다. 흙을 채운 곳의 지반이 내려앉으면서 초석이 가라앉거나 원위치에서 이동된 것이 많고 없어진 초석도 있다. 전체 초석은 원래 36개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원위치에 있는 것이 9개, 이동되거나 넘어진 것이 18개, 없어진 것이 9개이다. 주요 유물로 격자문 기와, 고배, 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