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사터 석등하대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익산 미륵사지 |위도= |경도= }} =='''해설문'''== ===국문=== ===영...)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
|대표명칭=미륵사터 석등하대석
|한자=
+
|한자=彌勒寺址 石燈下臺石
|영문명칭=
+
|영문명칭=Base Stones of the Stone Lanterns at Mireuksa Temple Site
 
|종합안내판=익산 미륵사지
 
|종합안내판=익산 미륵사지
 
|위도=
 
|위도=
12번째 줄: 1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43호
  
 +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고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며, 사찰의 금당이나 탑 같이 중요한 건축물 사이에 설치하였다.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 3단의 받침돌(下臺石‧竿柱石‧上臺石)을 두고, 위로 지붕돌(屋蓋石)과 머리 장식(寶珠)을 얹인 모습으로 만들었다. 미륵사지 석등은 동원과 중원의 금당과 탑 사이에 각각 1개씩 하대석만 남아 있었으나 서원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80년 발굴조사 전 서원 지역에서 발견된 석등 하대석 위에 놓이는 기둥(竿柱石), 불을 밝혀두는 돌, 지붕돌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동원과 중원의 석등하대석에는 여덟 잎의 연꽃이 조각되어 있는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말기의 수막새 무늬와 같은 모양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석등 중 가장 오래된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석등으로, 높이는 2.7m 내외로 추정된다.
  
 
===영문===
 
===영문===
''''''
+
'''Base Stones of the Stone Lanterns at Mireuksa Temple Site''' - 논의 필요
  
 +
Stone lanterns are placed in Buddhist temples to be used for light offerings to the Buddha. They are typically placed in front of the main worship hall or a pagoda.
 +
 +
 +
*참고 [[:분류:석등]]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1년 1월 31일 (일) 16:22 판

미륵사터 석등하대석 彌勒寺址 石燈下臺石
Base Stones of the Stone Lanterns at Mireuksa Temple Site
Goto.png 종합안내판: 익산 미륵사지



해설문

국문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43호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고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며, 사찰의 금당이나 탑 같이 중요한 건축물 사이에 설치하였다.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 3단의 받침돌(下臺石‧竿柱石‧上臺石)을 두고, 위로 지붕돌(屋蓋石)과 머리 장식(寶珠)을 얹인 모습으로 만들었다. 미륵사지 석등은 동원과 중원의 금당과 탑 사이에 각각 1개씩 하대석만 남아 있었으나 서원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80년 발굴조사 전 서원 지역에서 발견된 석등 하대석 위에 놓이는 기둥(竿柱石), 불을 밝혀두는 돌, 지붕돌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동원과 중원의 석등하대석에는 여덟 잎의 연꽃이 조각되어 있는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말기의 수막새 무늬와 같은 모양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석등 중 가장 오래된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석등으로, 높이는 2.7m 내외로 추정된다.

영문

Base Stones of the Stone Lanterns at Mireuksa Temple Site - 논의 필요

Stone lanterns are placed in Buddhist temples to be used for light offerings to the Buddha. They are typically placed in front of the main worship hall or a pagoda.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