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터13, 14(익산 왕궁리 유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익산 왕궁리 유적 |위도= |경도= }} =='''해설문'''== ===국문=== ===...)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
|대표명칭=건물터13, 14
|한자=
+
|한자=建物址 13, 14
|영문명칭=
+
|영문명칭=Building Sites No. 13 and 14
 
|종합안내판=익산 왕궁리 유적
 
|종합안내판=익산 왕궁리 유적
 
|위도=
 
|위도=
12번째 줄: 1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
오른쪽의 남북으로 길게 놓여 있는 건물터에는 둥근 형태의 적심(積心)이 1.5m 내지 2.8m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앞쪽의 건물터는 한 건물 내에 너비 약 3m, 길이 약 5m 크기의 두 개의 방을 가진 구조이다. 이런 구조는 뒤편에 있는 와적기단 건물터를 비롯하여 익산 미륵사지(彌勒寺址), 부여 능산리사지(陵山里寺址)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백제 고대 건축양식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영문===
 
===영문===
''''''
+
'''Building Sites No. 13 and 14'''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1년 1월 31일 (일) 15:39 판

건물터13, 14 建物址 13, 14
Building Sites No. 13 and 14
Goto.png 종합안내판: 익산 왕궁리 유적



해설문

국문

오른쪽의 남북으로 길게 놓여 있는 건물터에는 둥근 형태의 적심(積心)이 1.5m 내지 2.8m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앞쪽의 건물터는 한 건물 내에 너비 약 3m, 길이 약 5m 크기의 두 개의 방을 가진 구조이다. 이런 구조는 뒤편에 있는 와적기단 건물터를 비롯하여 익산 미륵사지(彌勒寺址), 부여 능산리사지(陵山里寺址)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백제 고대 건축양식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영문

Building Sites No. 13 and 14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