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단양 적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단양적성.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302650000 단양 적성], 국가문화유...)
 
33번째 줄: 33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성재산(해발 323.7m) 정상부에 위치한 이 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
성재산(해발 323.7m) 정상부에 위치한 이 석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1978년 이 산성에서 신라 적성비(국보 제198호)가 발견되었다. 비문에 따르면, 이 산성은 6세기 중반 신라가 한강의 상류 지역으로 진출하고 북쪽으로 세력을 넓히는 데 요충지로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고려시대까지 단양 지방을 다스리는 치소 구실을 했다.  
 
1978년 이 산성에서 신라 적성비(국보 제198호)가 발견되었다. 비문에 따르면, 이 산성은 6세기 중반 신라가 한강의 상류 지역으로 진출하고 북쪽으로 세력을 넓히는 데 요충지로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고려시대까지 단양 지방을 다스리는 치소 구실을 했다.  

2019년 11월 30일 (토) 05:27 판


단양 적성
Jeokseong Fortress, Danyang
단양 적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단양 적성
영문명칭 Jeokseong Fortress, Danyang
한자 丹陽 赤城
주소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산3-1번지
지정번호 사적 제265호
지정일 1979년 7월 26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신라
수량/면적 64,879㎡
웹사이트 단양 적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산성에서 발견된 단양 적성비의 내용을 보면 단양 적성은 진흥왕 15년(554) 신라가 죽령을 넘어 한강의 상류 지역으로 진출하고 북쪽으로 세력을 넓히는 데 필요한 요충지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대표적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與地勝覽)에는 성의 둘레가 1,768척이며 성내에 큰 우물이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단양 적성이 고려시대까지 단양 지방을 다스리는 읍성 구실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내에서는 삼국시대의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유물도 발견되고 있다.

단양 적성은 동서로 긴 타원형이다. 북서쪽은 경사가 급하고, 남동쪽은 비교적 완만하다. 성벽은 기초 부분을 돌과 진흙으로 다져 단단히 하였고, 성의 외벽은 자연석으로 쌓았다. 성의 안쪽은 말을 타고 병사가 다닐 수 있게 평평하게 다져 쌓았다. 성을 쌓는 방법이 매우 견고하여 신라의 성 쌓기 기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영문

Jeokseong Fortress, Danyang

영문 해설 내용

성재산(해발 323.7m) 정상부에 위치한 이 석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1978년 이 산성에서 신라 적성비(국보 제198호)가 발견되었다. 비문에 따르면, 이 산성은 6세기 중반 신라가 한강의 상류 지역으로 진출하고 북쪽으로 세력을 넓히는 데 요충지로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고려시대까지 단양 지방을 다스리는 치소 구실을 했다.

적성은 동서로 긴 타원형이며, 북서쪽은 경사가 급하고 남동쪽은 완만하다. 성벽의 기초는 돌과 진흙으로 단단히 다지고, 외벽은 자연석으로 쌓았다. 성의 안쪽은 병사들이 말을 타고 다닐 수 있게 평평하게 만들었다. 삼국시대의 토기와 기와 조각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토기, 청자 조각이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