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성북동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2500180000 성북동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2500180000 성북동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성북동산성
 
|대표명칭=성북동산성
|영문명칭=
+
|영문명칭=Fortress in Seongbuk-dong
 
|한자=城北洞山城
 
|한자=城北洞山城
|주소=대전 유성구 성북동 산 20-5
+
|주소=대전광역시 유성구 성북동 산 20-5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대전광역시 기념물 제18호
 
|지정번호=대전광역시 기념물 제18호
28번째 줄: 28번째 줄:
 
----
 
----
 
*문지: 성문 터.
 
*문지: 성문 터.
 +
 
===영문===
 
===영문===
 
+
'''Fortress in Seongbuk-dong'''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성북동 산성은 성재고개 남쪽에 위치한 산(해발 230m) 정상부를 돌로 둘러쌓은 백제시대 산성이다.
+
이 성은 성재고개 남쪽에 위치한 산(해발 230m) 정상부를 돌로 둘러쌓은 백제시대 산성이다. 이 산성은 연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대전 서남부 일대가 한눈에 보이는 곳에 조성되었으며, 대전 동부 지역의 다른 산성들과 연계하여 지역 방어상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산성은 연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대전 서남부 일대가 한눈에 보이는 곳에 조성되었으며, 대전 동부 지역의 다른 산성들과 연계하여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벽 대부분이 무너져내려 원형이 많이 사라진 상태이다. 경사가 급한 동쪽과 남쪽은 성벽을 쌓는 대신 자연 지형을 이용해 방어시설을 구축했다고 하나, 이 역시 지금은 훼손이 심해 확인이 어렵다.
 
  
산 정상으로 바로 오를 수 있는 동북쪽 문터와 북벽 중앙으로 통하는 문터가 확인되었으며, 북문터 근처에 우물터 1기가 있다. 내부에 건물터의 흔적들이 남아있으며, 무늬가 새겨진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
성의 둘레는 약 450m이고, 경사가 급한 동쪽과 남쪽은 성벽을 쌓는 대신 자연 지형을 이용해 방어시설로 이용하였다. 성벽 대부분이 무너져내려 원형이 많이 사라진 상태이다.  
  
*지금은 정상부에 체육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대전 둘레산길 10구간 코스에 포함되어 있다.
+
동북쪽과 북쪽에 문터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며, 성 안에는 건물지와 우물터 1기가 남아 있다. 백제시대의 토기 조각부터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조각까지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오랫동안 산성의 기능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
=='''참고자료'''==
 
*(대전둘레산길원정대) 10구간 성북동산성길 : 대전의 마지막 미개척지, 서남부권, 금강일보, 2019.10.09.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10290#0BJz
 
*(대전둘레산길원정대) 10구간 성북동산성길 : 대전의 마지막 미개척지, 서남부권, 금강일보, 2019.10.09.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10290#0BJz
 
*유성문화원 http://www.yuseong.or.kr/?pid=0301
 
*유성문화원 http://www.yuseong.or.kr/?pid=0301
50번째 줄: 47번째 줄:
 
[[분류:대전광역시 문화유산]]
 
[[분류:대전광역시 문화유산]]
 
[[분류:시도기념물]]
 
[[분류:시도기념물]]
[[분류:산성]]
+
[[분류:성곽]]

2020년 5월 16일 (토) 16:17 판


성북동산성
Fortress in Seongbuk-dong
성북동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성북동산성
영문명칭 Fortress in Seongbuk-dong
한자 城北洞山城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성북동 산 20-5
지정번호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18호
지정일 1990년 5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28,660㎡
웹사이트 성북동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성북동 산성은 원내동에서 성북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남쪽 산 위에 테를 두르듯 쌓은 백제시대 석축 산성이다. 이 산성은 대전 분지를 둘러싸고 있는 서쪽 산줄기(해발 220~245m) 일대에 걸쳐 있는데, 연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대전 서남부 지역 일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성 둘레는 약 450m이고 평면은 둥근 사다리꼴이며, 경사가 급한 동벽과 남벽은 성벽을 쌓지 않고 자연 지형을 그대로 깎아 방어시설로 이용하였다. 문지(門地)는 동북벽 모서리와 북벽 중간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며, 내부에 건물터로 보이는 대지와 우물터가 남아 있다. 이 성은 그 안에서 백제시대부터 토기편부터 조선시대 분청사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수습되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오랫동안 산성의 기능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 문지: 성문 터.

영문

Fortress in Seongbuk-dong

영문 해설 내용

이 성은 성재고개 남쪽에 위치한 산(해발 230m) 정상부를 돌로 둘러쌓은 백제시대 산성이다. 이 산성은 연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대전 서남부 일대가 한눈에 보이는 곳에 조성되었으며, 대전 동부 지역의 다른 산성들과 연계하여 지역 방어상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의 둘레는 약 450m이고, 경사가 급한 동쪽과 남쪽은 성벽을 쌓는 대신 자연 지형을 이용해 방어시설로 이용하였다. 성벽 대부분이 무너져내려 원형이 많이 사라진 상태이다.

동북쪽과 북쪽에 문터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며, 성 안에는 건물지와 우물터 1기가 남아 있다. 백제시대의 토기 조각부터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조각까지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오랫동안 산성의 기능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