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이항희 가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7개를 가져왔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CHfull
+
{{문화유산정보
 
|사진 = YiHangHui_house.jpg
 
|사진 = YiHangHui_house.jpg
|지정지역 = 국가
+
|대표명칭 = 청주 이항희 가옥
|지정유형 = 중요민속문화재
+
|한자 = 淸州 李恒熙 家屋
|지정번호 = 133
+
|영문 = Yi Hang-hui’s House, Cheongju
|지정년 = 1984
+
|이칭 청주 고은리 고택 (淸州 高隱里 古宅)
|지정월 = 1
+
|지정번호 = 중요민속문화재  제133호
|지정일 = 14
+
|지정일 = 1984.01.14
|지정명칭 = 청주 이항희 가옥
+
|주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고은리 190-1
|한자명칭 = 淸州 李恒熙 家屋
 
|영문명칭 = Yi Hang-hui’s House, Cheongju
 
|분류 가옥
 
|세부분류 = 한옥
 
|건립제작 = 1861
 
|건립제작세기 = 19
 
|건립제작시대 = 조선
 
|소유자 = 이덕희
 
|관리자 = 이돈희
 
|연락처 =
 
|주소도 = 충청북도  
 
|주소시 = 청주시
 
|주소구 = 상당구
 
|주소면 = 남일면
 
|주소길 = 고은리
 
|주소번호 = 190-1
 
|주소번지 =
 
 
|위도 = 36.56591
 
|위도 = 36.56591
 
|경도 = 127.517885
 
|경도 = 127.517885
|웹사이트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1330000,33
+
|필드수 =10
|관계1 = hasType
+
}}
|관련기사1 = 중요민속문화재
+
 
|관계2 = hasType
+
=='''해설문'''==
|관련기사2 = 한옥
+
{{해설문
|관계3 = hasPart
 
|관련기사3 = 안채
 
|관계4 = hasPart
 
|관련기사4 = 사랑채
 
|관계5 = hasPart
 
|관련기사5 = 행랑채
 
|관계6 = hasPart
 
|관련기사6 = 곳간채
 
|관계7 = hasPart
 
|관련기사7 = 광채
 
|관계8 =  
 
|관련기사8 =
 
|관계9 =
 
|관련기사9 =
 
|관계10 =
 
|관련기사10 =
 
 
|국문 =
 
|국문 =
 
이 가옥은 1861년([[철종|철종,哲宗 12]])에 지은 [[안채]]와 20세기 중반에 지은 [[사랑채]]로 이루어진 전통 한옥이다.  
 
이 가옥은 1861년([[철종|철종,哲宗 12]])에 지은 [[안채]]와 20세기 중반에 지은 [[사랑채]]로 이루어진 전통 한옥이다.  
55번째 줄: 22번째 줄:
 
[[안채]]는 [[홑처마]] [[합각지붕]]의 [[기와집]]이다.  
 
[[안채]]는 [[홑처마]] [[합각지붕]]의 [[기와집]]이다.  
  
이 집의 가장 큰 특징은 [[행랑채]] 동쪽 끝에 시설된 [[대문]]을 들어서면 [[가운데 마당]]에 이르고, [[일각대문]]인 가운데 문을 거치면 [[안채]]에 이르는 외부 공간의 구성과 [[안마당]]의 [[모과나무|모과]]·[[향나무]], [[뒤꼍]]의 [[감나무]] 등이 [[전통적 기법]]에 따라 배치된 점이다.  
+
이 집의 가장 큰 특징은 [[행랑채]] 동쪽 끝에 시설된 대문을 들어서면 가운데 마당에 이르고, [[일각대문]]인 가운데 문을 거치면 [[안채]]에 이르는 외부 공간의 구성과 [[안마당]]의 모과나무·향나무, 뒤꼍의 감나무 등이 전통적 기법에 따라 배치된 점이다.  
  
또한 [[안채]]의 건축 연대가 명확하고 건물 구조에 있어서 [[민가]]의 방식이 많이 쓰인 점도 주목된다.
+
또한 [[안채]]의 건축 연대가 명확하고 건물 구조에 있어서 민가의 방식이 많이 쓰인 점도 주목된다.
 
|영문 =  
 
|영문 =  
 
This hanok consists of a [[안채|women’s quarters]], a [[사랑채|men’s quarters]], a [[행랑채|servants’ quarters]], and [[곳간채|storehouses]].  
 
This hanok consists of a [[안채|women’s quarters]], a [[사랑채|men’s quarters]], a [[행랑채|servants’ quarters]], and [[곳간채|storehouses]].  
65번째 줄: 32번째 줄:
 
This house is unique in that the [[사랑채|men’s quarters]] is to the right of, rather than inside, the [[main gate]].  
 
This house is unique in that the [[사랑채|men’s quarters]] is to the right of, rather than inside, the [[main gate]].  
  
In the [[안마당|inner courtyard]], [[모과나무|quince]] and [[향나무|Chinese juniper]] trees were planted according to a [[전통적 기법|traditional gardening style]].
+
In the [[안마당|inner courtyard]], quince and Chinese juniper trees were planted according to a traditional gardening style.
 
}}
 
}}
 +
 
==위치==
 
==위치==
 
<includeonly>
 
<iframe width="550" height="300" src="http://digerati.aks.ac.kr/VR/xsl6/navermap.htm?lati=36.632942&longi=127.489801" frameborder="0" ></iframe>
 
</includeonly>
 
 
 
<googlemap width="550" height="300" lat="36.56591" lon="127.517885" type="normal"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googlemap width="550" height="300" lat="36.56591" lon="127.517885" type="normal"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6.56591, 127.517885 [[청주 이항희 가옥]]
 
36.56591, 127.517885 [[청주 이항희 가옥]]
78번째 줄: 41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50px>
 
File:YiHangHui_layout.JPG|안채
 
File:YiHangHui_layout.JPG|안채
 
File:YiHangHui_anchae.jpg|안채
 
File:YiHangHui_anchae.jpg|안채

2017년 3월 14일 (화) 02:54 판

청주 이항희 가옥
YiHangHui house.jpg
대표명칭 청주 이항희 가옥
한자 淸州 李恒熙 家屋
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고은리 190-1
지정번호 중요민속문화재 제133호
지정일 1984.01.14



해설문

국문 해설문 영문 해설문
이 가옥은 1861년(철종,哲宗 12)에 지은 안채와 20세기 중반에 지은 사랑채로 이루어진 전통 한옥이다.

이 집의 평면은 ㄱ자 모양의 안채와 그 앞의 -자 행랑채 및 동쪽의 곳간채, 서쪽의 광채를 크게 둘러싸고 있는 안 공간과 행랑채 동쪽에 배치된 사랑채로 이루어지는 바깥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홑처마 합각지붕기와집이다.

이 집의 가장 큰 특징은 행랑채 동쪽 끝에 시설된 대문을 들어서면 가운데 마당에 이르고, 일각대문인 가운데 문을 거치면 안채에 이르는 외부 공간의 구성과 안마당의 모과나무·향나무, 뒤꼍의 감나무 등이 전통적 기법에 따라 배치된 점이다.

또한 안채의 건축 연대가 명확하고 건물 구조에 있어서 민가의 방식이 많이 쓰인 점도 주목된다.
This hanok consists of a women’s quarters, a men’s quarters, a servants’ quarters, and storehouses.

The women’s quarters, built in 1861, remains, but the other parts of the house were reconstructed in the 1930s.

This house is unique in that the men’s quarters is to the right of, rather than inside, the main gate.

In the inner courtyard, quince and Chinese juniper trees were planted according to a traditional gardening style.


위치

갤러리

주석

  1. 안방 내부 모습. 가운데 작은 여닫이문은 부엌과 바로 통하는 기능을 하며, 오른쪽의 직사각형 문은 부엌 위에 꾸며진 다락으로 올라가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