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 용산리 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사천용산리사지.jpg
 
|사진=사천용산리사지.jpg
37번째 줄: 36번째 줄:
 
'''Temple Site in Yongsan-ri, Sacheon'''
 
'''Temple Site in Yongsan-ri, Sacheon'''
  
This is the former site of Seobongsa Temple. First built in the mid-5th century under the name "Bongamsa,” the temple was renamed "Seobongsa" when it underwent a general reconstruction and was significantly expanded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
This is the former site of Seobongsa Temple. According to records, this temple was first built in the mid-5th century under the name "Bongamsa,” but was renamed "Seobongsa" sometim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In 1614, the temple underwent a major reconstruction and was significantly expanded.
  
Today, only pillar base stones, the retaining wall, and a well remain. The temple grounds were turned into a tea plantation.
+
Today, only pillar base stones, the stone platform, and a well remain. The site is now a tea plantation.
 
 
 
 
 
 
* maybe the translation of the name could be added? ->“ “Bongamsa, which means “the temple on the mountain top”(?), was later renamed Seobongsa, “the temple of the western peak”(?)…” would that be helpful?
 
 
 
* 중창: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지음”; 국문: “다시 지었는데” – reconstructed? -> “광해군 6년(1614)에 의현스님이 폐허였던 절”
 
 
 
* changed the order of the last two sentences.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이곳에 있던 사찰은 5세기 중엽에 봉암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 서봉사로 이름이 바뀌었고, 17세기에 중창되었으며, 절의 규모가 대단히 컸다고 한다.
+
이곳은 서봉사의 옛 터이다. 기록에 따르면 이 절은 5세기 중엽에 봉암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가 조선시대에 서봉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1614년에 중창되었으며, 절의 규모가 대단히 컸다고 한다.
 
 
현재 이곳은 차밭으로 개간되었으나. 주춧돌, 축대, 우물 등이 남아 있다.
 
  
 +
현재 이곳에는 주춧돌, 축대, 우물 등이 남아 있다. 지금은 차밭으로 개간되었다.
  
  
61번째 줄: 51번째 줄:
 
[[분류:시도기념물]]
 
[[분류:시도기념물]]
 
[[분류:사지]]
 
[[분류:사지]]
 +
[[분류:2019 영문집필]]

2020년 6월 10일 (수) 09:51 기준 최신판

사천 용산리 사지
Temple Site in Yongsan-ri, Sacheon
사천 용산리 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사천 용산리 사지
영문명칭 Temple Site in Yongsan-ri, Sacheon
한자 泗川 龍山里 寺址
주소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 용산리 334번지
지정번호 시도기념물 제178호
지정일 1997년 12월 31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수량/면적 10,511㎡
웹사이트 사천 용산리 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사천 용산리 사지는 용산리 봉명산 기슭에 있던 절터이다.

기록에 따르면 눌지왕(417~457 재위)때 이 절을 세웠다고 전하며 그 당시에는 ‘봉암사’라 했으나 조선 시대 때 ‘서봉사’로 바뀌었다고 한다. ‘서봉사’에서 인쇄된 불경이 있었는데 현재 서울대학교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광해군 6년(1614)에 의현스님이 폐허였던 절을 다시 지었는데 절의 규모가 대단히 컸다고 전한다. 절이 있었던 곳에는 절터임을 알려 주는 주춧돌, 축대*, 우물 등이 남아 있다.

현재는 차밭으로 개간되었다.


  • 축대(築臺): 높이 쌓아 올린 대나 터

영문

Temple Site in Yongsan-ri, Sacheon

This is the former site of Seobongsa Temple. According to records, this temple was first built in the mid-5th century under the name "Bongamsa,” but was renamed "Seobongsa" sometim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In 1614, the temple underwent a major reconstruction and was significantly expanded.

Today, only pillar base stones, the stone platform, and a well remain. The site is now a tea plantation.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서봉사의 옛 터이다. 기록에 따르면 이 절은 5세기 중엽에 봉암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가 조선시대에 서봉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1614년에 중창되었으며, 절의 규모가 대단히 컸다고 한다.

현재 이곳에는 주춧돌, 축대, 우물 등이 남아 있다. 지금은 차밭으로 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