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산 고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
32번째 줄: 31번째 줄:
 
'''Myosan House'''
 
'''Myosan House'''
  
Myosan House is said to have been a men’s quarters of a house built by Ju Im-chae in 1915.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it served as the office of the Gwanyeong-ri Council.  
+
Myosan House is said to have been the men’s quarters of a residence built by Ju Im-chae in 1915.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it was used as the office of the Gwanyeong-ri Council. The building has features typical of traditional houses dating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building consists of an underfloor-heated room and a wooden-floored room.*
 
 
 
 
 
* We usually don’t translate 칸, do we?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묘산고택은 1915년 주임채가 건립한 가옥의 사랑채였다고 전해진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관영리 위원회의 사무실로도 사용되었다.  
+
묘산고택은 1915년 주임채가 건립한 가옥의 사랑채였다고 전해진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관영리 위원회의 사무실로도 사용되었다. 20세기 초 한옥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정면 6칸, 측면 3칸으로 온돌방과 마루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2년 3월 28일 (월) 10:39 기준 최신판

묘산 고택
Myosan House
대표명칭 묘산 고택
영문명칭 Myosan House
한자 峁山 古宅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335-1
지정번호 향토문화유산 제68호
지정일 2019년 12월 12일
시대 1915년
수량/면적 일곽(618㎡)



해설문

국문

능주면 관영리에 있는 묘산 고택은 대정 4년(1915년) 주임채가 건립한 가옥 중 사랑채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진다.

정면 6칸, 측면 3칸으로 3칸은 온돌방, 3칸은 마루방으로 되어 있어 지역 근대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관영리 위원회 사무실로 사용하기도 하는 등 역사적 향토사적 가치가 크다.

영문

Myosan House

Myosan House is said to have been the men’s quarters of a residence built by Ju Im-chae in 1915.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it was used as the office of the Gwanyeong-ri Council. The building has features typical of traditional houses dating to the early 20th century.

영문 해설 내용

묘산고택은 1915년 주임채가 건립한 가옥의 사랑채였다고 전해진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관영리 위원회의 사무실로도 사용되었다. 20세기 초 한옥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