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부안군 이석수 묘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부안군이석수묘역.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1100290000 부안군 이석수...)
 
(차이 없음)

2024년 6월 28일 (금) 09:15 기준 최신판


부안군이석수묘역
부안군 이석수 묘역,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부안군이석수묘역
한자 扶安君李碩壽墓域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동작동)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2005년 9월 15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조선시대
수량/면적 분묘 2基, 석물 6基, 토지 321㎡
웹사이트 부안군 이석수 묘역,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이곳에는 조선 제9대 왕 성종의 손자인 부안군 이석수와 부인 평강 채씨의 분묘가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묘역의 봉분은 쌍분이고, 묘표 · 혼유석 · 상석 · 향로석 · 문인석 등의 석물이 있다.

부안군은 성종과 명빈 김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무산군의 아들이다. 처음에는 종친에게 하사하는 ‘창선대부 부안정(彰善大夫 扶安正)’이라는 품계를, 후에는 ‘명선대부 도정(明善大夫 都正)’이라는 품계를 받았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위한 공로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올랐으며, 죽은 후에는 정의대부 부안군(正義大夫 扶安君)으로 벼슬이 올랐다.

묘표의 비문에는 5대손 이태제(李泰齊)가 1727년(영조 3)에 이 비를 세웠다는 내용과 부안군의 첫 부인인 김해 허씨와 맏아들의 묘역이 양주 장흥면에 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묘역의 위쪽에는 그의 손자인 순안군 이선룡과 그의 두 부인 남원 윤씨와 여흥 민씨의 쌍분 삼위 합장묘가 있다.

18세기에 재정비된 부안군 묘역은 원형이 잘 유지되어 있어 당시의 석비 조성 양식을 잘 보여 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조선시대의 왕족인 이석수(1524-1598)와 부인 평강채씨의 묘이다. 이석수는 조선 제9대 왕 성종(재위 1469-1494)의 손자이다. 임진왜란 때 선조(재위 1567-1608)를 호위한 공으로 공신이 되었다.

이 묘역은 이석수가 세상을 떠났을 때 처음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18세기에 재정비되었다. 현재 두 봉분 앞에는 묘비, 혼유석, 상석, 향로석과 한 쌍의 문인석이 있다. 묘비는 1727년에 세워진 것으로 원형이 잘 유지되어 있어 당시의 석비 조성 양식을 잘 보여 준다. 비문에는 이석수의 5대손 이태제가 이 묘비를 세웠고 이석수의 첫 부인인 김해허씨와 맏아들의 묘역이 경기도 양주에 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묘역의 뒤에는 이석수의 손자인 이선룡과 두 부인 남원윤씨와 여흥민씨의 묘가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