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선농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서울선농단.jpg
 
|사진=서울선농단.jpg
40번째 줄: 39번째 줄:
 
'''Seonnongdan Altar, Seoul'''
 
'''Seonnongdan Altar, Seoul'''
  
Seonnongsan Altar, said to have been built in 1476, was used for the performance of Seonnongje ("Early Farming Ritual"), a state rite performed to ensure a bountiful agricultural season.  
+
Seonnongdan Altar, said to have been built in 1476, was used for the performance of Seonnongje (“Ritual [Held] Prior to [the] Farming [Season]”), a state rite performed to ensure a bountiful agricultural season.
  
The Seonnongje Ritual venerates two deities from ancient Chinese mythology who are believed to have introduced farming to humans, namely the deity of farming Shennong (K. Sinnong) and the deity of grain Houji (K. Hujik). After making an offering to the dieties on the altar, the king, followed by the crown prince, a minister, and a commoner, ceremonially plowed and sowed seeds on the plot of land to the southeast of the altar as a way to convey the preciousness of farming and wish for a bountiful harvest. Following this, the king held a banquet for the commoners.  
+
The Seonnongje Ritual venerates two deities from ancient Chinese mythology who are believed to have introduced farming to humans, namely the deity of farming Shennong (K. Sinnong) and the deity of grain Houji (K. Hujik). After making an offering to the deities on the altar, the king, followed by the crown prince, a minister, and a commoner, ceremonially plowed and sowed seeds on the plot of land to the southeast of the altar as a way to convey the preciousness of farming and wish for a bountiful harvest. Following this, the king held a banquet for the commoners.
  
The rite, which was practiced in Korea from the Unified Silla (668-935) to the Joseon (1392-1910) periods, was discontinued in 1909, just prior to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1910-1945). At this time, the spirit tablets of Shennong and Houji were moved about 5.5 km west to Sajikdan Altar, where rituals to the spirits of the land and grain were held.  
+
The rite, which was practiced in Korea from the Unified Silla (668-935) to the Joseon (1392-1910) periods, was discontinued in 1909, just prior to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1910-1945). At this time, the spirit tablets of Shennong and Houji were moved about 5.5 km west to Sajikdan Altar, where rituals to the spirits of the land and grain were held.
  
The altar complex is home to an old Chinese juniper tree, which is said to have been plan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altar.  
+
The altar complex is home to an old Chinese juniper tree, which is said to have been plan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altar.
  
*농경문화의 상징적 유적이다 -> 문장에 넣기 어색하고 내용을 읽으면 알 수 있는 내용 같아서 생략했어요.
+
===영문 해설 내용===
 +
선농단은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선농제를 지내던 곳으로, 147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전한다.  
  
===영문 해설 내용===
+
선농제는 중국 고대 전설에서 인간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다고 하는 농사의 신 신농씨(神農氏)와 곡식의 신 후직씨(后稷氏)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선농제를 올린 뒤에는 임금, 세자, 대신, 백성들이 순서대로 선농단 동남쪽에 마련된 밭을 갈고 씨를 뿌리는 의식을 거행하였는데, 이는 농사의 소중함을 알리고 풍작을 기원하는 의미였다. 의식이 끝난 후에 임금은 백성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선농단은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선농제를 지내던 곳으로 농경문화의 상징적 유적이다. 지금의 선농단은 147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전한다.  
 
  
선농제는 중국 고대 전설에서 인간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다고 하는 농사의 신 신농씨(神農氏)와 곡식의 신 후직씨(后稷氏)에게 지내는 제사로, 통일신라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도 이를 계승하였다. 선농제를 올린 뒤에는 임금이 백성들에게 농사의 소중함을 알리고 풍작을 기원하는 뜻에서 친히 농사짓는 의식을 거행하였다. 임금이 선농단 동남쪽에 마련된 밭을 갈고, 세자, 대신, 백성들이 순서대로 이 밭을 갈고 씨를 뿌렸으며, 의식이 끝난 후에 임금은 백성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이러한 의식은 대한제국 말기까지 계속되었으나, 일제강점기 직전인 1909년에 폐지되었다. 선농단에 모셔졌던 신농씨와 후직씨의 위패는 이곳에서 서쪽으로 약 5.5km 떨어진 사직단으로 옮겨졌다.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
선농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까지 계속되었으나, 일제강점기 직전인 1909년에 폐지되었다. 선농단에 모셔졌던 신농씨와 후직씨의 위패는 이곳에서 서쪽으로 약 5.5km 떨어진 사직단으로 옮겨졌다.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현재 선농단 안에는 선농제를 올렸던 단 외에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향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는 선농단이 세워질 때 심어졌다고 한다.
 
현재 선농단 안에는 선농제를 올렸던 단 외에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향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는 선농단이 세워질 때 심어졌다고 한다.
66번째 줄: 65번째 줄: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서울특별시 문화유산]]
 
[[분류:서울특별시 문화유산]]
 +
[[분류: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문화유산]]
 
[[분류:사적]]
 
[[분류:사적]]
 
[[분류:제사유적]]
 
[[분류:제사유적]]
 
[[분류:2022 영문집필]]
 
[[분류:2022 영문집필]]

2023년 4월 10일 (월) 11:46 기준 최신판

서울 선농단
Seonnongdan Altar, Seoul
서울 선농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서울 선농단
영문명칭 Seonnongdan Altar, Seoul
한자 서울 先農壇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 274-1번지
지정번호 사적 제436호
지정일 2001년 12월 29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제사유적/제사터
수량/면적 3,933㎡
웹사이트 서울 선농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서울 선농단은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선농제를 지내던 곳으로 농경문화의 상징적 유적이다.

선농제는 중국 고대 전설에서 농사를 관장했던 신농씨(神農氏)와 후직씨(后稷氏)에게 지내는 제사로 신라시대부터 비롯되어 조선시대에도 이를 계승하였다.

선농제를 올린 뒤에는 왕이 친히 친경의례*를 거행하여 선농단 동남쪽에 마련된 적전(籍田)*에서 밭을 갈아 백성들에게 농사일의 소중함을 알리고 권농에 힘쓰고자 하였다. 세자, 대신, 백성들이 순서대로 적전을 갈고 씨를 뿌렸으며 친경 후에 왕은 백성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친경의례는 대한제국 말기까지 계속되었으나, 일제강점기 직전인 순종 3년(1909)에 사직단으로 위패가 옮겨지고 폐지되었다.

현재 선농단 안에는 선농제를 올렸던 단 외에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향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는 선농단이 세워질 때 심어졌다고 한다.


  • 친경의례 : 임금이 농사의 모범을 보이고 풍작을 기원하는 뜻에서 직접 행하던 농사짓는 의식
  • 적전 : 임금이 몸소 농사 짓던 밭

영문

Seonnongdan Altar, Seoul

Seonnongdan Altar, said to have been built in 1476, was used for the performance of Seonnongje (“Ritual [Held] Prior to [the] Farming [Season]”), a state rite performed to ensure a bountiful agricultural season.

The Seonnongje Ritual venerates two deities from ancient Chinese mythology who are believed to have introduced farming to humans, namely the deity of farming Shennong (K. Sinnong) and the deity of grain Houji (K. Hujik). After making an offering to the deities on the altar, the king, followed by the crown prince, a minister, and a commoner, ceremonially plowed and sowed seeds on the plot of land to the southeast of the altar as a way to convey the preciousness of farming and wish for a bountiful harvest. Following this, the king held a banquet for the commoners.

The rite, which was practiced in Korea from the Unified Silla (668-935) to the Joseon (1392-1910) periods, was discontinued in 1909, just prior to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1910-1945). At this time, the spirit tablets of Shennong and Houji were moved about 5.5 km west to Sajikdan Altar, where rituals to the spirits of the land and grain were held.

The altar complex is home to an old Chinese juniper tree, which is said to have been plan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altar.

영문 해설 내용

선농단은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선농제를 지내던 곳으로, 147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전한다.

선농제는 중국 고대 전설에서 인간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다고 하는 농사의 신 신농씨(神農氏)와 곡식의 신 후직씨(后稷氏)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선농제를 올린 뒤에는 임금, 세자, 대신, 백성들이 순서대로 선농단 동남쪽에 마련된 밭을 갈고 씨를 뿌리는 의식을 거행하였는데, 이는 농사의 소중함을 알리고 풍작을 기원하는 의미였다. 의식이 끝난 후에 임금은 백성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선농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까지 계속되었으나, 일제강점기 직전인 1909년에 폐지되었다. 선농단에 모셔졌던 신농씨와 후직씨의 위패는 이곳에서 서쪽으로 약 5.5km 떨어진 사직단으로 옮겨졌다.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현재 선농단 안에는 선농제를 올렸던 단 외에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향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는 선농단이 세워질 때 심어졌다고 한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