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거제 방하리 고분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42번째 줄: 42번째 줄:
 
An archeological excavation of the tombs was conducted in 2018 and 2019. The tombs were found to be either stone chamber tombs or stone-lined tombs. Some of the tombs were missing their earthen burial mounds.  
 
An archeological excavation of the tombs was conducted in 2018 and 2019. The tombs were found to be either stone chamber tombs or stone-lined tombs. Some of the tombs were missing their earthen burial mounds.  
  
In the vicinity are the remains of local administrative buildings (1 km to the northwest), as well as Dundeokgiseong Fortress (2.5 km to the northwest), which are presumed to date to the mid-7th century. <del>Together with historical records, which state that local administration offices were created in today’s Geoje area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r. 661-681),</del> '''these various archeological remains attest to the continued importance of the local area since ancient times'''.
+
In the vicinity are the remains of local administrative buildings (1 km to the northwest), as well as Dundeokgiseong Fortress (2.5 km to the northwest), which are presumed to date to the mid-7th century. These various archeological remains attest to the continued importance of the local area since ancient times.
  
*마리아도 지적했지만 이 무덤과 관청이 무슨 관련이 있는지 모르겠어요. 관청이 생기기전에도 가야시대에 이미 마을이 현성되었을 텐데 관청이 생긴다고 해서 고분군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그냥 원래 살던 마을사람들이 그냥 계속 죽으면서 무덤을 만든 것이 아닌가요? 관청 생기고 나서 인구가 늘어서 무덤이 갑자기 더 많아졌거나 그런 설명까지 있어야지 무슨 관계인지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시기를 보면 무덤은 7세기 중엽까지인데 이 때는 둔덕기성과 치소가 생긴 시기라서 오히려 관청이 생기면서 무덤이 더 이상 이지역에 만들지 않았다는 의미가 아닌가요? 아무튼 마지만 문단의 논리를 이해를 못하겠어요. 역사기록을 굳이 관련이 없는 것 같기도하고요. 우선 내용을 최대 살려서 표현을 수정했는데 다시 확인하면 좋겠어요.
 
 
*두번째 문단은 발굴조사 보고서를 위해 쓴 느낌이 없지 않아서 일반인들 위해 내용을 쉽게 바꿨습니다.  
 
*두번째 문단은 발굴조사 보고서를 위해 쓴 느낌이 없지 않아서 일반인들 위해 내용을 쉽게 바꿨습니다.  
 
*총 몇개의 고분군이 발견됐는지 알명 좋을 텐데요.
 
*총 몇개의 고분군이 발견됐는지 알명 좋을 텐데요.

2022년 9월 13일 (화) 13:03 판


거제 방하리 고분군
거제 방하리 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거제 방하리 고분군
한자 巨濟 芳下里 古墳群
주소 경상남도 거제시 둔덕면 방하리 산 84-5 외 4필지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298호
지정일 2019년 12월 26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웹사이트 거제 방하리 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고분은 지하 또는 지상의 매장시설을 만들어 시신을 안치하고 그 위에 흙을 높이 쌓아 올려서 만든 오래된 무덤을 통칭한다.

방하리 고분군은 5세기부터 7세기 중엽 거제지역 고유문화를 바탕으로 가야 및 신라 문화가 융합되어 형성된 고분군으로 거제지역 최대급 유력 정치체가 형성한 고분문화 및 변천과정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

지금까지 확인·조사된 방하리 고분군은 봉분이 남아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뉘며 시신이 매장되는 매장주체부는 석실묘*와 석곽묘*가 확인되었다.

인근의 둔덕기성(성곽) 및 고군현 치소지(행정관청) 등과 함께 신라 문무왕 때 설치된 상군(裳郡)의 실체를 증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석실묘(石室墓) : 돌방무덤. 돌로 널(관)을 안치하는 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려 봉토를 만든 무덤
  • 석곽묘(石槨墓) : 돌덧널무덤. 지면을 파고 돌로 덧널(관을 넣는 궤)을 만든 무덤

영문

Ancient Tombs in Bangha-ri, Geoje

These ancient tombs in Bangha-ri were built between the 5th and the mid-7th centuries by the powerful ruling class of the Gaya confederacy (42-562 CE) and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The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local burial culture and its gradual change over time.

An archeological excavation of the tombs was conducted in 2018 and 2019. The tombs were found to be either stone chamber tombs or stone-lined tombs. Some of the tombs were missing their earthen burial mounds.

In the vicinity are the remains of local administrative buildings (1 km to the northwest), as well as Dundeokgiseong Fortress (2.5 km to the northwest), which are presumed to date to the mid-7th century. These various archeological remains attest to the continued importance of the local area since ancient times.

  • 두번째 문단은 발굴조사 보고서를 위해 쓴 느낌이 없지 않아서 일반인들 위해 내용을 쉽게 바꿨습니다.
  • 총 몇개의 고분군이 발견됐는지 알명 좋을 텐데요.

영문 해설 내용

방하리 고분군은 5세기부터 7세기 중엽에 걸쳐 조성되었다. 거제 지역에 있던 가야와 신라의 유력 정치체가 형성한 무덤으로 당시 고분 문화와 변천 과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유적이다.

2018년과 2019년에 실시된 발굴조사에 따르면 이 고분군에서 발견된 고분들은 봉분이 남아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뉘며, 무덤의 형태는 석실묘와 석곽묘로 확인되었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지금의 거제 지역에 지방 행정관청이 설치되었다고 한다. 이 고분군은 인근의 둔덕기성, 고군현 치소지와 함께 당시 설치되었던 행정 관청을 증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갤러리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