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대도호부 관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강릉대도호부관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203880000 강릉대도호부...)
 
(개별)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강릉대도호부관아.jpg
 
|사진=강릉대도호부관아.jpg
23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
====종합====
 
강릉대도호부 관아는 조선시대 강릉의 행정 기관이 모여있는 읍치 공간이다. 국왕의 위패를 모신 객사인 임영관(臨瀛館), 수령이 정무를 보던 동헌(東軒)을 비롯하여 향청(鄕廳)‧작청(作廳)‧군기청 등의 건물이 갖추어져 있었다.  
 
강릉대도호부 관아는 조선시대 강릉의 행정 기관이 모여있는 읍치 공간이다. 국왕의 위패를 모신 객사인 임영관(臨瀛館), 수령이 정무를 보던 동헌(東軒)을 비롯하여 향청(鄕廳)‧작청(作廳)‧군기청 등의 건물이 갖추어져 있었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국보인 「강릉 임영관 삼문」과 보물인 「칠사당」의 웅장하면서도 단아한 멋은 관아 건축물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옛 강릉의 위상과 수준 높은 문화 의식을 나타낸다.  
 
국보인 「강릉 임영관 삼문」과 보물인 「칠사당」의 웅장하면서도 단아한 멋은 관아 건축물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옛 강릉의 위상과 수준 높은 문화 의식을 나타낸다.  
 +
 +
====개별====
 +
# 중대청(中大廳)
 +
#* 고려시대 건축 양식으로 전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 주심포 양식이다. 조선시대 관찰사(감사)가 순찰을 위해 방문하였을 때 머물던 공간이다.
 +
# 전대청(殿大廳)
 +
#* 객사의 정청(正廳)이자 중심 공간이다. 왕의 전패(殿牌)*를 모셔두고 음력 초하루와 보름에 수령이 대궐을 향해 절을 하는 의식인 망궐례(望闕禮)*를 행하였던 곳으로, 좌·우측 동대청과 서헌에 비해 지붕이 한 단계 높게 지어졌다.
 +
#** 전패:  조선시대 지방관청의 객사에 왕의 초상을 대신하여 봉안하던 목패. 앞에 '전殿'자를 새겼으므로 전패라고 한다.
 +
#** 망궐례: 고려·조선시대 수령이 음력 초하루와 보름날에 임금이 있는 궁궐 쪽을 향해 절을 하는 유교의식. 설·단오·한식·추석·동지 등 명절이나 왕과 왕비의 생일날에도 예를 올려 만수무강을 빌었다.
 +
# 동대청(東大廳)
 +
#* 좌측의 서헌과 더불어 사신 및 중앙 관료들의 숙식‧연회‧재판, 국가의 애경사 시 망곡(望哭)* 등을 하던 곳이다. 『수교집록(受敎輯錄)』*에 문‧무관 구별 없이 사신 일행 중 2품 이상이 동대청을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서헌보다 위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
#** 망곡: 임금이나 부모의 상사(喪事)를 당한 때, 직접 가지 못해 그곳을 바라보고 슾피우는 일.
 +
#** 수교집록: 조선 숙종 24년(1698)에 왕명으로 편찬된 법전집.
 +
# 서헌(西軒)
 +
#* 우측의 동대청과 더불어 사신 및 중앙 관료들이 숙식하던 곳으로 온돌방과 마루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대청에 비해 규모가 작다. 『수교집록(受敎輯錄)』에 사신 일행 중 정3품 관료들이 서헌을 사용했다고 한다.
 +
# 의운루(倚雲樓)
 +
#* 수령이 공무 중 잠시 휴식하거나, 손님을 맞이하는 등의 공간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의 단층 구조이다. 임영관 서남쪽의 나지막한 구릉에 위치하여, 그 아래 조성된 연당(蓮塘)을 조망할 수 있었다고 한다.
 +
# 동헌(東軒)
 +
#* 관아의 정청(政廳)으로 수령이 행정 업무와 재판 등 정무(政務)를 보던 중심 공간이다. 정면 6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구조이다.
 +
 +
* 아문(衙門)
 +
* 중문(中門)
 +
* 별당(別堂)
 +
* 문화관광해설사의 집
 +
* 화장실(化粧室)
  
 
===영문===
 
===영문===
 +
'''Gangneung-daedohobu* Government Office'''
 +
 +
====종합====
 +
This is the site of the Gangneung-daedohobu Government Office, which served as the local government of the Gangneung area during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 government office can trace its origins to the establishment of Imyeongwan Guesthouse in 936. In 1389, the local government was promoted to the status of a great strategic prefecture (''daedohobu''), which refers to a special regional government installed in an area of great strategic importance. The government office, which underwent several renovations, came to comprise numerous buildings by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including a hall named Chilsadang, a local elites’ office, and a munitions office, as well as the aforementioned Imyeongwan Guesthouse. Howev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all buildings apart from Chilsadang Hall and the main gate of the guesthouse were demolished and replaced with school and police buildings. In 1993, the site was excavated during prepa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city hall building. However, after numerous structural remains and artifacts were discovered, the area was designated as a historic site in 1994. Another excavation was conducted in 2005.
 +
 +
The current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a magistrate’s office, a pavilion named Uiullu (all rebuilt in 2012), and Imyeongwan Guesthouse (rebuilt in 2000-2006), as well as the original structures of Chilsadang Hall and the main gate of Imyeongwan Guesthouse (designated as a Treasure and National Treasure, respectively). The stately but elegant beauty of these two buildings is a testament to the historical statu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Gangneung and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 architectural research.
 +
 +
====개별====
 +
# Inner Hall
 +
#* The inner hall served as the residence of the governor when he visited on patrol. Rebuilt in a Goryeo period-style, the building measures three bays in width by four bays in depth, has a gable roof, and features roof-support brackets atop the pillars.
 +
# Shrine Hall
 +
#*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uesthouse, the shrine hall held a wooden tablet symbolizing the king. The wooden tablet, which was enshrined in every local guesthouse, exhibited the king’s sovereignty across the country. To acknowledge this sovereignty, the local magistrate and other officials performed a ceremony here twice a month in which they prostrated themselves toward the royal capital. To convey its status, the roof of the shrine hall is taller than that of the adjacent lodging halls.
 +
# Eastern Hall
 +
#* This hall, located to the right of the shrine hall, served as a temporary lodging facility for high-ranking envoys and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ir visits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e.
 +
# Western Hall
 +
#* This hall, located to the left of the shrine hall, served as a temporary lodging facility for lesser-ranking envoys and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ir visits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e. Smaller than the eastern hall, it comprises an underfloor-heated room and a wooden-floored room.
 +
# Uiunnu Pavilion
 +
#* This pavilion was used by the local magistrate when taking a break from work or entertaining guests. The building measures three bays in width by two bays in depth and has a hip-and-gable roof. Located on a hill to the southwest of the guesthouse, it overlooks a pond below.
 +
# Magistrate’s Office
 +
#* As the main administrative building of the government office, this was where the local magistrate oversaw administrative affairs. The building, which measures six bays in width by two bays in depth, features a hip-and-gable roof.
 +
 +
* Main Gate
 +
* Inner Gate
 +
* Annex
 +
* Tourist Guide Office
 +
* Toilet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종합====
 +
이곳은 강릉대도호부의 관아가 있던 곳이다. 이 일대에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지금의 강릉 지역의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들이 모여 있었다.
 +
 +
기록에 따르면 이 관아의 역사는 936년 객사인 임영관이 창건되면서 시작되었다. 1389년 강릉 지역 관아가 대도호부로 승격되었으며, 이는 군사적 요충지에 설치되었던 특별 지방행정 기구를 의미한다. 이후 관아는 여러 차례 중건되면서 조선 후기에 이르러 칠사당, 향청, 군기청, 임영관을 비롯한 여러 건물들을 포함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동안 칠사당과 임영관 삼문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학교와 경찰서 등이 들어섰다. 1993년 강릉시청사 신축 계획에 따라 이 일대의 발굴조사가 진행되었고, 다수의 건물지와 유물이 발견되면서 1994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2005년 추가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
현재 이 관아는 2012년에 복원된 정문, 동헌, 의운루와 2000-2006년에 복원된 임영관 객사, 그리고 보물로 지정된 칠사당과 국보로 지정된 임영관 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건물의 웅장하면서도 단아한 멋은 관아 건축물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옛 강릉의 위상과 수준 높은 문화를 나타낸다.
  
  
44번째 줄: 100번째 줄:
 
[[분류:강릉시 문화유산]]
 
[[분류:강릉시 문화유산]]
 
[[분류:사적]]
 
[[분류:사적]]
 +
[[분류:강릉대도호부 관아]]
 
[[분류:관아]]
 
[[분류:관아]]
 
[[분류:2024 영문집필]]
 
[[분류:2024 영문집필]]

2024년 6월 4일 (화) 09:20 기준 최신판

강릉대도호부 관아
Gangneung-daedohobu Government Office
강릉대도호부 관아,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강릉대도호부 관아
영문명칭 Gangneung-daedohobu Government Office
한자 江陵大都護府 官衙
주소 강원도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용강동)
지정번호 사적 제388호
지정일 1994년 7월 11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8,951㎡
웹사이트 강릉대도호부 관아,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종합

강릉대도호부 관아는 조선시대 강릉의 행정 기관이 모여있는 읍치 공간이다. 국왕의 위패를 모신 객사인 임영관(臨瀛館), 수령이 정무를 보던 동헌(東軒)을 비롯하여 향청(鄕廳)‧작청(作廳)‧군기청 등의 건물이 갖추어져 있었다.

『임영지(臨瀛誌)』에 따르면 936년(고려 태조 19년) 객사 임영관을 창건하였고, 당시 전대청‧중대청‧동대청‧낭청방 등 총 83칸에 달하는 건물이 있었다고 한다. ‘임영관(臨瀛館)’편액은 공민왕의 글씨로 전한다. 관아 건물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칠사당과 임영관 삼문을 제외하고 모두 철거되었다.

1993년 강릉시청사 신축 계획에 따라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는데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건물지와 유물이 다수 발견되어 1994년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임영관 복원이 추진되었으며, 2005년 발굴조사 결과 관아 관련 유적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2006년 임영관의 전대청‧중대청‧좌우익사를 복원하였고, 2012년에는 객사 전면 동헌 영역에서 아문‧동헌‧별당‧의운루 등을 복원하였다.

국보인 「강릉 임영관 삼문」과 보물인 「칠사당」의 웅장하면서도 단아한 멋은 관아 건축물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옛 강릉의 위상과 수준 높은 문화 의식을 나타낸다.

개별

  1. 중대청(中大廳)
    • 고려시대 건축 양식으로 전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 주심포 양식이다. 조선시대 관찰사(감사)가 순찰을 위해 방문하였을 때 머물던 공간이다.
  2. 전대청(殿大廳)
    • 객사의 정청(正廳)이자 중심 공간이다. 왕의 전패(殿牌)*를 모셔두고 음력 초하루와 보름에 수령이 대궐을 향해 절을 하는 의식인 망궐례(望闕禮)*를 행하였던 곳으로, 좌·우측 동대청과 서헌에 비해 지붕이 한 단계 높게 지어졌다.
      • 전패: 조선시대 지방관청의 객사에 왕의 초상을 대신하여 봉안하던 목패. 앞에 '전殿'자를 새겼으므로 전패라고 한다.
      • 망궐례: 고려·조선시대 수령이 음력 초하루와 보름날에 임금이 있는 궁궐 쪽을 향해 절을 하는 유교의식. 설·단오·한식·추석·동지 등 명절이나 왕과 왕비의 생일날에도 예를 올려 만수무강을 빌었다.
  3. 동대청(東大廳)
    • 좌측의 서헌과 더불어 사신 및 중앙 관료들의 숙식‧연회‧재판, 국가의 애경사 시 망곡(望哭)* 등을 하던 곳이다. 『수교집록(受敎輯錄)』*에 문‧무관 구별 없이 사신 일행 중 2품 이상이 동대청을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서헌보다 위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 망곡: 임금이나 부모의 상사(喪事)를 당한 때, 직접 가지 못해 그곳을 바라보고 슾피우는 일.
      • 수교집록: 조선 숙종 24년(1698)에 왕명으로 편찬된 법전집.
  4. 서헌(西軒)
    • 우측의 동대청과 더불어 사신 및 중앙 관료들이 숙식하던 곳으로 온돌방과 마루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대청에 비해 규모가 작다. 『수교집록(受敎輯錄)』에 사신 일행 중 정3품 관료들이 서헌을 사용했다고 한다.
  5. 의운루(倚雲樓)
    • 수령이 공무 중 잠시 휴식하거나, 손님을 맞이하는 등의 공간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의 단층 구조이다. 임영관 서남쪽의 나지막한 구릉에 위치하여, 그 아래 조성된 연당(蓮塘)을 조망할 수 있었다고 한다.
  6. 동헌(東軒)
    • 관아의 정청(政廳)으로 수령이 행정 업무와 재판 등 정무(政務)를 보던 중심 공간이다. 정면 6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구조이다.
  • 아문(衙門)
  • 중문(中門)
  • 별당(別堂)
  • 문화관광해설사의 집
  • 화장실(化粧室)

영문

Gangneung-daedohobu* Government Office

종합

This is the site of the Gangneung-daedohobu Government Office, which served as the local government of the Gangneung area during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 government office can trace its origins to the establishment of Imyeongwan Guesthouse in 936. In 1389, the local government was promoted to the status of a great strategic prefecture (daedohobu), which refers to a special regional government installed in an area of great strategic importance. The government office, which underwent several renovations, came to comprise numerous buildings by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including a hall named Chilsadang, a local elites’ office, and a munitions office, as well as the aforementioned Imyeongwan Guesthouse. Howev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all buildings apart from Chilsadang Hall and the main gate of the guesthouse were demolished and replaced with school and police buildings. In 1993, the site was excavated during prepa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city hall building. However, after numerous structural remains and artifacts were discovered, the area was designated as a historic site in 1994. Another excavation was conducted in 2005.

The current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a magistrate’s office, a pavilion named Uiullu (all rebuilt in 2012), and Imyeongwan Guesthouse (rebuilt in 2000-2006), as well as the original structures of Chilsadang Hall and the main gate of Imyeongwan Guesthouse (designated as a Treasure and National Treasure, respectively). The stately but elegant beauty of these two buildings is a testament to the historical statu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Gangneung and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 architectural research.

개별

  1. Inner Hall
    • The inner hall served as the residence of the governor when he visited on patrol. Rebuilt in a Goryeo period-style, the building measures three bays in width by four bays in depth, has a gable roof, and features roof-support brackets atop the pillars.
  2. Shrine Hall
    •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uesthouse, the shrine hall held a wooden tablet symbolizing the king. The wooden tablet, which was enshrined in every local guesthouse, exhibited the king’s sovereignty across the country. To acknowledge this sovereignty, the local magistrate and other officials performed a ceremony here twice a month in which they prostrated themselves toward the royal capital. To convey its status, the roof of the shrine hall is taller than that of the adjacent lodging halls.
  3. Eastern Hall
    • This hall, located to the right of the shrine hall, served as a temporary lodging facility for high-ranking envoys and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ir visits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e.
  4. Western Hall
    • This hall, located to the left of the shrine hall, served as a temporary lodging facility for lesser-ranking envoys and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ir visits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e. Smaller than the eastern hall, it comprises an underfloor-heated room and a wooden-floored room.
  5. Uiunnu Pavilion
    • This pavilion was used by the local magistrate when taking a break from work or entertaining guests. The building measures three bays in width by two bays in depth and has a hip-and-gable roof. Located on a hill to the southwest of the guesthouse, it overlooks a pond below.
  6. Magistrate’s Office
    • As the main administrative building of the government office, this was where the local magistrate oversaw administrative affairs. The building, which measures six bays in width by two bays in depth, features a hip-and-gable roof.
  • Main Gate
  • Inner Gate
  • Annex
  • Tourist Guide Office
  • Toilet

영문 해설 내용

종합

이곳은 강릉대도호부의 관아가 있던 곳이다. 이 일대에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지금의 강릉 지역의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들이 모여 있었다.

기록에 따르면 이 관아의 역사는 936년 객사인 임영관이 창건되면서 시작되었다. 1389년 강릉 지역 관아가 대도호부로 승격되었으며, 이는 군사적 요충지에 설치되었던 특별 지방행정 기구를 의미한다. 이후 관아는 여러 차례 중건되면서 조선 후기에 이르러 칠사당, 향청, 군기청, 임영관을 비롯한 여러 건물들을 포함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동안 칠사당과 임영관 삼문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학교와 경찰서 등이 들어섰다. 1993년 강릉시청사 신축 계획에 따라 이 일대의 발굴조사가 진행되었고, 다수의 건물지와 유물이 발견되면서 1994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2005년 추가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현재 이 관아는 2012년에 복원된 정문, 동헌, 의운루와 2000-2006년에 복원된 임영관 객사, 그리고 보물로 지정된 칠사당과 국보로 지정된 임영관 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건물의 웅장하면서도 단아한 멋은 관아 건축물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옛 강릉의 위상과 수준 높은 문화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