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진 장군 생가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좌진장군생가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400760000 김좌진 장군...)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김좌진장군생가지.jpg
 
|사진=김좌진장군생가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400760000 김좌진 장군 생가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400760000 김좌진 장군 생가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김좌진 장군 생가지
 
|대표명칭=김좌진 장군 생가지
|영문명칭=
+
|영문명칭=Birthplace of Kim Jwa-jin
 
|한자=金佐鎭 將軍 生家地
 
|한자=金佐鎭 將軍 生家地
 
|주소=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백야로546번길 12, 외 (행산리)
 
|주소=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백야로546번길 12, 외 (행산리)
32번째 줄: 31번째 줄:
  
 
===영문===
 
===영문===
 +
'''Birthplace of Kim Jwa-jin'''
  
 +
This is the birthplace of the general Kim Jwa-jin (1889-1930), an educator and prominent leader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current house was built anew in 1992 atop the foundation of the original house, which was no longer standing.
 +
 +
Born in Hongseong, Kim was known for his bravery and intelligence from a young age. In 1905, he was admitted to the Military Academy. In 1907 upon his graduation from the academy, Kim was given an officer’s rank in the army. However, due to the forced dissolution of the Korean army by the Japanese Empire, Kim returned home the following year where he established Homyeong School in his own house.
 +
 +
In 1916, Kim became a member of the Great Korean Liberation Association and joined the independence movement. Eventually, he traveled to Manchuria where he assumed the post of supreme commander of a military organization licens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e brought great victory over the Japanese troops in the Battle of Qingshanli in 1920. In 1929, Kim formed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 in Manchuria and served as its chairman.
 +
 +
In 1930, Kim Jwa-jin was assassinat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st Party and was thus unable to see the liberation his homeland. In 1962, he was posthumously awarded the Republic of Korea Medal of the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곳은 일제강점기의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인 김좌진(1889-1930)의 생가이다. 원래의 건물이 없어지고 터만 남아있던 것을 1992년에 복원하였다.
 +
 +
김좌진은 홍성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용맹하고 총명하였다. 1905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1907년에 졸업한 후 육군 장교에 임관되었다. 그러나 같은해 대한제국 군대가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고, 김좌진은 고향집에 호명학교를 세워 교육 운동을 전개하였다.
  
 +
1916년에는 대한광복회에 가담하여 항일 독립투쟁을 하였고, 이후 만주로 건너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인준을 받은 군사조직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1920년 일본군을 상대로 청산리대첩에서 크게 승리하였고, 1929년에는 한족총연합회를 결성하여 주석에 올랐다.
  
 +
그러나 김좌진은 끝내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1930년 공산당 청년당원에게 암살당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2024년 5월 21일 (화) 10:34 기준 최신판

김좌진 장군 생가지
Birthplace of Kim Jwa-jin
김좌진 장군 생가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좌진 장군 생가지
영문명칭 Birthplace of Kim Jwa-jin
한자 金佐鎭 將軍 生家地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백야로546번길 12, 외 (행산리)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제76호
지정일 1989년 12월 29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탄생지
수량/면적 1,205㎡
웹사이트 김좌진 장군 생가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김좌진장군은 일제강점기의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이다. 고종 26년(1889)에 김형규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본관은 안동이고 호는 백야(白冶)다. 이곳은 김좌진이 태어나고 성장한 곳이다.

김좌진은 어려서부터 용맹하고 총명하였다. 1905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1907년에 졸업한 후, 홍성군 길산면에 위치한 90여칸의 자택에 호명학교를 세워 교육 운동을 전개하였다.

1916년에는 대한광복회에 가담하여 항일 독립투쟁을 하다가, 만주로 건너가 북로군정서를 조직하여 총사령관이 되었으며, 1920년 10월, 일본군을 상대로 청산리대첩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1925년에는 김혁과 함께 신민부를 조직하여 중앙위원장을 맡았고, 1929년에는 한족총연합회를 결성하여 주석에 올랐다.

그러나 끝내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1930년 1월, 40세의 나이에 공산당 청년당원에게 암살당했다. 그 후, 1962년 3월 1일,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영문

Birthplace of Kim Jwa-jin

This is the birthplace of the general Kim Jwa-jin (1889-1930), an educator and prominent leader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current house was built anew in 1992 atop the foundation of the original house, which was no longer standing.

Born in Hongseong, Kim was known for his bravery and intelligence from a young age. In 1905, he was admitted to the Military Academy. In 1907 upon his graduation from the academy, Kim was given an officer’s rank in the army. However, due to the forced dissolution of the Korean army by the Japanese Empire, Kim returned home the following year where he established Homyeong School in his own house.

In 1916, Kim became a member of the Great Korean Liberation Association and joined the independence movement. Eventually, he traveled to Manchuria where he assumed the post of supreme commander of a military organization licens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e brought great victory over the Japanese troops in the Battle of Qingshanli in 1920. In 1929, Kim formed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 in Manchuria and served as its chairman.

In 1930, Kim Jwa-jin was assassinat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st Party and was thus unable to see the liberation his homeland. In 1962, he was posthumously awarded the Republic of Korea Medal of the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일제강점기의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인 김좌진(1889-1930)의 생가이다. 원래의 건물이 없어지고 터만 남아있던 것을 1992년에 복원하였다.

김좌진은 홍성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용맹하고 총명하였다. 1905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1907년에 졸업한 후 육군 장교에 임관되었다. 그러나 같은해 대한제국 군대가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고, 김좌진은 고향집에 호명학교를 세워 교육 운동을 전개하였다.

1916년에는 대한광복회에 가담하여 항일 독립투쟁을 하였고, 이후 만주로 건너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인준을 받은 군사조직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1920년 일본군을 상대로 청산리대첩에서 크게 승리하였고, 1929년에는 한족총연합회를 결성하여 주석에 올랐다.

그러나 김좌진은 끝내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1930년 공산당 청년당원에게 암살당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